왕조의 몰락과 참극 속에서도 살아남아 한국·대만·일본을 거쳐 전 세계로

삼국지 영걸 가운데 한명으로 유명한 오(吳)나라의 손권은 서기 230년 장군 위온과 제갈직을 시켜 갑사 1만명을 데리고 바다 건너 이주와 단주로 가게 한다. 인구가 모자라 천하통일에 결정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것을 깨닫고 그런 식의 ‘사람 사냥’을 해서라도 인구를 늘리려 한 것이다.

지금의 대만인 이주까지 원정을 나서는 처절한 노력까지 기울여보지만, 결국 오나라는 그 50년 뒤인 서기 280년 압도적인 인구와 물자를 갖춘 진나라에 멸망하고 만다.


2500년 전의 오나라가 부활하다
오나라는 그로부터 620여년 뒤인 중국 오대십국시대에 다시 부활한다. 당나라 말기 회남절도사였던 양행밀이 서기 902년 양주를 수도로 삼아 역사상 세 번째 오나라를 세운 것이다(한나라 초기 ‘오초칠국의 난’으로 반란국가로 등장한 오나라까지 치면 역사상 네 번째임).

서기 10세기에 등장한 이 오나라는 35년이라는 짧은 기간만 존속하다가 사라졌다. 그러나 이 사건은 중국 역사상 끊임없이 소멸을 반복하는 ‘오나라’라는 존재의 무거움을 새롭게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다.

왜 양쯔강 이남의 강남에서는 2500년 전 사라진 춘추시대의 오나라가 지속적으로 민중의 마음을 뒤흔들며 되살아나곤 했던 것일까? 무엇이 유독 오나라라는 왕조의 처절한 부활을 반복적으로 가능하게 했던 것일까?

바로 이런 오래고도 뿌리 깊은 염원을 반영한 듯한 사건이 역사 속에서 벌어진다. 오나라의 국명을 모태로 하는 ‘오씨’라는 가문이 전세계에 퍼져나가 오나라의 정체성을 지금까지 이어가는 것이다. 기원전 473년 최초의 오나라가 멸망한 뒤로부터 거의 2500년, 왕조는 갔어도 가문은 살아남았다.

오나라는 오태백이 처음으로 지금의 장쑤성 쑤저우 지방에 봉해진 이후 25대 왕 부차 때까지 이어지다가 멸망했다. 이 25대를 내려오는 동안 언제 정확히 오씨라는 성이 정립됐는지에 대해선 여러 가지 설이 있다. 후대에 내려오면서 주류에서 벗어난 왕족들이 망명이나 투항 등으로 다른 성씨를 갖게 되는 일도 생겨났다.

결정적으로 오나라가 월나라에 멸망당한 이후 왕족의 여러 지파를 중심으로 자신들을 오씨라는 정체성으로 일체화한 집단이 폭발적으로 많아진다. 왕조가 존속할 때는 오히려 희미하던 정체성을 멸망 뒤의 고난 속에서 더 명확하게 인식하고 강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역사를 보자.
 

   
▲ 합려의 명으로 오자서가 쌓았다는 소주고성. 소주는 오나라가 망한 뒤 월나라에게 크게 파괴됐다가 후대에 복원됐다. <사진 제공=한겨레21>

"오나라 19대 왕 수몽에게는 네 아들이 있었다. 맏아들은 제번, 둘째는 여제, 셋째는 여말, 넷째는 계찰이었다. 계찰이 현명하고 재능이 있어서 수몽은 그에게 왕위를 물려주려 했다.

그러나 그는 사양했다. 할 수 없이 큰 아들을 옹립하면서 형제순으로 차례로 즉위토록 유언을 남겼다. 결국에는 계찰이 왕위에 오르도록 배려한 것이다."

유언에 따라 왕위는 이어졌지만, 다시 계찰 차례에 이르자 이번에도 그는 오나라 사람들의 간곡한 뜻을 받아들이지 않고 가족을 떠나 밭을 갈며 거절의 뜻을 분명히 했다.

할 수 없이 왕위는 셋째 여말에 이어 그 아들 요에게 돌아갔다. 이것이 오나라의 운명에 결정적인 전기가 된다. 맏아들 제번의 아들 공자 광이 자신에게 올 왕위가 요에게 잘못 갔다면서 요를 암살하는 쿠데타를 일으켜 오왕에 등극한 것이다. 이 공자 광이 합려이다.

이 전격 쿠데타 당시 요의 아들인 공자 촉용과 개여는 전쟁에 나가 초나라군에 포위돼 있었는데, 이 소식을 듣고 초나라에 항복한다. 초나라에 투항한 형제는 초나라 서 땅에 봉해져 각각 촉용씨와 개여씨의 시조가 된다. 오로부터 분리된 성씨가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그 뒤에는 다시 합려의 동생 부개가 반란을 일으킨 뒤 역시 초나라로 항복해 당계씨의 시조가 된다.

월나라의 파괴, 오나라의 멸망
어쨌든 오나라는 합려왕 때 크게 번성한다. 손자와 오자서의 보좌로 합려는 초나라 수도를 함락하는 등 큰 전과를 올린다. 그러다가 배후에서 갑자기 습격해온 월나라 군사와 싸우던 중 부상을 입고 그 후유증으로 사망한다. 저 유명한 오월대전이 시작된 것이다.

오월대전에서 초기 대승을 거둔 오왕 부차는 교만함과 간신들의 아첨에 빠져 나라를 멸망으로 몰고 간다. 오자서와 공손경 같은 충신들을 죽인 그는 결국 월나라에 패하고 스스로 목을 찔러 자결한다.
 

   
▲ 오씨의 존속에 크게 기여한 사실상의 시조격인 계찰. 왕위를 양위하는 등 그의 높은 인격과 도덕성을 기려 공자는 직접 비문을 쓰기도 했다. <사진 제공=한겨레21>

오나라의 멸망은 ‘오’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던 국가 지역 핏줄의 3가지 가운데 2가지의 단절을 가져왔다. 나라는 망해 월나라의 식민지가 됐다. 양쯔강의 뱃길을 중심으로 무역국가로서 번영을 구가하던 수도 오(오늘날의 쑤저우)도 파괴됐다.

역사는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월나라 사람들은 오나라에 대한 복수심으로 오나라의 건축물을 철저히 파괴했다. 부차가 세운 고서대도 부서지고, 수도 오도 파괴를 면할 길이 없었다.’

사마천은 이 파괴 이후의 양상을 ‘오나라의 폐허’(吳墟)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무너진 성벽은 과연 여기가 한때 번화하던 오나라 수도였는지 도저히 믿을 수 없게 했다. 석양은 핏빛으로 물들었다‘라고 표현한 이도 있다."

이 참극에서도 3가지 가운데 하나는 가장 확실하게 살아남았다. 핏줄, 바로 오씨라는 성씨다. 그러나 오씨라는 성이 살아남기 위해 치러야 했던 고통은 매우 컸다.

“왕족 가운데 많은 이들이 전쟁에서 죽거나 포로가 되고 유랑민이 됐다. 부차의 아들인 태자 화와 그 아들도 패망 몇해 전 포로로 붙잡혀 월나라로 끌려갔다. 새로 세워진 태자 우와 고멸 등 왕자들도 월나라에 포로로 잡혀갔으며, 다른 왕자 전문은 피살됐다.

또 다른 왕자인 경기와 그 가족은 송나라와 초나라로 달아났다. 그 밖에 많은 왕족들이 월나라의 박해와 노예가 되는 길을 피해 달아나야 했다. …오씨 대부분은 집을 떠나 월나라의 노예가 되거나 월나라 사람 밑의 예속민이 돼야 했다. 월나라 벽지로 강제이주돼 노역을 해야 했던 사람도 많다.”

아이러니하게도 오나라 멸망 뒤 오씨를 살아남도록 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은 왕권을 둘러싸고 내부 싸움을 벌였던 왕들과 그 후손이 아니라 양위파 계찰과 그 후손이다. 역사를 다시 보자.

오씨의 명맥을 이은 남자, '계찰'
“오나라가 망할 때 계찰의 장손 오복번은 노모와 처 그리고 식솔을 이끌고 도망쳐 동정호 부근으로 갔다(역사서를 보면 계찰은 이전까지는 성이 없이 계찰로 불리다가 오나라 멸망 뒤부터 ‘오계찰’로 표기되는 변화가 일어난다).
 

   
대림대학교 입학처 https://goo.gl/t5iQC2


지금 호산으로 불리는 무봉산 남쪽에까지 간 그는 월나라 사람들의 박해를 피하기 위해 성과 이름을 감추고 자신의 가운데 이름을 따서 ‘복씨’라고 성을 바꿨다. 그리고 세세손손 그곳에 은거한 채 살았다. 바깥 세상과도 절연한 채 집안 사람들은 물고기를 잡고 농사를 지어 생계를 이어갔다.

맨 처음 남매끼리 결혼을 하는 것으로 시작해 문중결혼으로 가계를 이어가던 그들은, 그러나 자신들의 조상을 잊지 않았다. …그 가문은 1500여년이나 흐른 남송 때 다시 ‘오씨’라는 성을 되찾는다.

계찰의 둘째아들 오정생 일파는 가장 가문이 융성해진 경우이다. 제나라로 피난한 그는 제나라 공주와 결혼해 아들을 낳은 뒤 ‘나라를 되찾는다’는 결의를 담아 아들 이름을 ‘후번’이라고 짓기도 한다. 오후번은 나중에 노나라의 상국이 되고, 그 아들 오번은 공자의 제자 안회의 제자가 된다. …”

이 계찰의 아들 다섯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오씨 가운데 대종을 이루게 된다. 왕권 다툼의 소용돌이에 휘말린 왕들과 그 후손들이 투항 등으로 다른 성씨로 정착하는 등의 변화를 많이 겪은 데 반해 그와 그의 자손은 오씨의 정통으로서 가문을 가장 활발하게 흥성시킨 셈이다. 이런 역사를 가진 오씨는 그 뒤 한국과 대만, 일본을 거쳐 전세계로 퍼져나가고 있다.


*에듀진 기사 원문: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278
 

   
http://goo.gl/TI0YdL
저작권자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