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미한 옛 사랑의 그림자

김광규

4·19가 나던 해 세밑 희망
우리는 오후 다섯 시에 만나
반갑게 악수를 나누고
불도 없는 차가운 방에 앉아
하얀 입김 뿜으며
열띤 토론을 벌였다
어리석게도 우리는 무엇인가를
정치와는 전혀 관계없는 무엇인가를
위해서 살리라 믿었던 것이다
결론 없는 모임을 끝낸 밤
혜화동 로터리에서 대포를 마시며
사랑과 아르바이트와 병역 문제 때문에
우리는 때묻지 않은 고민을 했고
아무도 귀기울이지 않는 노래를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노래를
저마다 목청껏 불렀다
돈을 받지 않고 부르는 노래는
겨울밤 하늘로 올라가 별똥별이 되어 떨어졌다
그로부터 18년 오랜만에
우리는 모두 무엇인가가 되어
혁명이 두려운 기성 세대가 되어
넥타이를 매고 다시 모였다
회비를 만 원씩 걷고
처자식들의 안부를 나누고
월급이 얼마인가 서로 물었다
치솟는 물가를 걱정하며
즐겁게 세상을 개탄하고
익숙하게 목소리를 낮추어
떠도는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모두가 살기 위해 살고 있었다
아무도 이젠 노래를 부르지 않았다
적잖은 술과 비싼 안주를 남긴 채
우리는 달라진 전화번호를 적고 헤어졌다
몇이서는 포커를 하러 갔고
몇이서는 춤을 추러 갔고
몇이서는 허전하게 동숭동 길을 걸었다
돌돌 말은 달력을 소중하게 옆에 끼고
오랜 방황 끝에 되돌아온 곳
우리의 옛사랑이 피흘린 곳에
낯선 건물들 수상하게 들어섰고
플라타너스 가로수들은 여전히 제자리에 서서
아직도 남아 있는 몇 개의 마른 잎 흔들며
우리의 고개를 떨구게 했다
부끄럽지 않은가
부끄럽지 않은가
바람의 속삭임 귓전으로 흘리며
우리는 짐짓 중년기의 건강을 이야기했고
또 한 발짝 깊숙이 늪으로 발을 옮겼다


시를 수업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 문학 제재 중에 내 삶을 돌아보게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제재이기 때문이다. 시를 수업하면서 이 시가 학생들에게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기우였음을 확인했다. 다음은 시를 읽은 아이들이 자신의 감상을 정리한 글이다. 독보적으로 글을 잘 쓰던 신 군은 긴장해야겠다. 점점 멋진 글쟁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1학년 김예솔 (가명)
혁명에 대해 이야기를 하려고 만났지만 다들 사소한 일에 대해 이야기를 했고, 그렇게 세월이 흘러 한 가족의 가장이 되었다. 중년이 되었을 때 모두 살기 위해 열심히 일하는 것을 보고 정말 안타까웠다. 중년이 되니 친구들은 이미 순수함을 잃었고 예전 혁명의 시대에 다니던 거리를 보면서 세월이 많이 지났다고 느끼는 순간, 자신이 부끄럽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자기도 순수함을 서서히 잃어간다. 이 시를 읽고 예전의 나를 생각해 보았고, 지금의 나는 예전의 나와 뭐가 바뀌었는지 생각하게 되었다.

1학년 송수진 (가명)
지금은 중년이 되어 평범하게 흘러가며 살아가고 있는 시적 화자는 자신의 젊은 날을 회상해 본다. 화자는 자신과 뜻이 맞는 친구들과 함께 혁명에 대해 열띤 토론을 했다. 돈이 없어서 대포에서 싼 술을 사먹고 불도 없는 차가운 방에서 토론을 했다. 하지만 젊은 날에 이렇게 패기 있게 살아왔던 나날들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세상의 물결에 따라 화자 자신에게서 잊혔다. 그 후, 18년 뒤 화자는 전에 자신과 함께 토론을 하던 친구들과 재회했다.

그들은 모두 직업을 갖고 있었다. 세상에서 굴러가는 톱니바퀴 중 하나가 되었던 것이다. 그들 또한 화자와 같이 자신의 삶에서 ‘혁명’이란 두 글자를 잊고 자신이 연명하기 위해 즉, 세상을 바꾸지 않고 세상에서 살아가기 위해 살아가고 있었다.

젊은 날에 그들은 대포에서 싼 술을 마셔도 영양가 있는 모임을 했다. 하지만 현재의 그들은 비싼 안주를 시켜도 아무도 의미 있는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 그들은 모두 소시민이 되어 살아가고 있었다. 그리고 화자는 변치 않는 가로수를 보며 자기 자신을 부끄러워하고 있다.

 
   
안양대학교 입학처 https://goo.gl/BVZI0W


1학년 이준희 (가명)
젊은 시절, 화자와 그가 속한 모임원들은 모두 꿈과 이상의 ‘무엇인가’를 꿈꾸었다. 그들은 변변찮은 ‘대포’를 마시면서도 ‘대포’는 오히려 그들이 노래라는 행동을 꿈과 이상을 좇을 수 있게 만들어주었다.

그러나 ‘노래’는 별똥별이 되어 떨어지듯 반짝거리다 사라졌으며 다시 반짝거릴 수 있도록 올라오지는 못했다. 별똥별이 떨어지고 나서 그들은 다시 ‘무엇인가’ 가 되어 다시 모였다. 모두가 더 이상 꿈과 이상을 좇지 않기에 ‘대포’보다 더 비싼 술과 안주는 더 이상 그들에게 도움을 주지 못하며 의미가 없다. 그들은 또한 노래를 부르지 않으며 포커나 춤을 추러 간다. 결국 ‘무엇인가’ 되었다는 것은 현실에 안주하고 있는 소시민의 모습을 뜻하며 젊은 시절의 무엇인가와는 대조된다.

화자는 홀로 걸으면서 플라타너스 가로수를 바라본다. 가로수 주변에 낯선 건물들이 들어서고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여전히 그 자리에서 남아 마른 잎을 흔든다. 화자는 그 모습에서 생계를 위해 현실에 안주한 자신의 모습을 부끄러워한다. 젊었을 때 꿈꾸었던 꿈과 이상이 현실 앞에선 별똥별이 되어 떨어지는 것에서 꿈을 이루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생계보다 더 중요시할 이상을 가지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느꼈다.


*에듀진 기사 원문: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291
 

   
http://goo.gl/bdBmXf
저작권자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