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종 합격자가 대학생활을 잘하는 이유

   
▲ 한양대 지능형 모형차 경진대회[사진 제공=한양대]

상위권 대학 A대학교에 정시로 입학한 손지영(가명)학생은 대학에 입학한 후 대학수업이 수능을 준비하며 공부했던 과정과 매우 달라 어려움을 느꼈다고 털어놨다.

손지영(가명)학생은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정시로 진학하기로 마음을 먹고 수능 시험을 대비했다. 따라서 여러 활동을 병행해야 하는 학교수업보다 학원에서 이뤄지는 수능 집중 공부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자연스럽게 학교생활에는 신경을 못 쓰게 됐고, 내신은 좋았지만 비교과활동이 엉망이었다.

그렇지만 수능은 철저하게 준비했기 때문에 정시에 성공해서 원하던 A대학교에 진학할 수 있었다. 그런데 진학 후에 더 깊은 고민이 생겼다. 대학 성적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이다. 열심히 공부를 해도 성적은 항상 제자리걸음이었다. 때문에 2학년 때는 슬럼프까지 찾아와 학사경고를 받게 됐다.

이 학생의 문제점은 무엇일까? 해답은 간단하다. 수능과 대학교 시험의 평가 기준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가장 간단하게 비교하자면 수능은 단순히 문제풀기만 잘 하면 누구든지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그래서 어떤 학생들은 수능과 연계해 출제되는 EBS의 문제나 지문을 통째로 외우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대학시험은 그렇지 않다. 중간·기말고사가 객관식으로 출제된다고 하더라도 그 외 발표나 레포트 과제가 평가요소로 반영된다. 내신관리의 연장선인 셈이다. 따라서 내신관리를 한 적이 없는 위 학생이 좋은 점수를 받을 리는 만무하다. 또한 중간·기말고사가 주관식 서술형이나 아예 논술형으로 출제되는 경우도 있다. 대학 시험은 수능처럼 ‘달달 외우면 만점’이라는 것이 없다는 말이다.

가장 큰 차이는 정시를 준비하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미 고2 전까지 수능 범위를 모두 배운다. 그리고 고3때는 이미 배운 내용을 복습하면서 ‘점수 잘 내기’에만 집중한다. 하지만 대학은 반복학습이나 선행학습의 기회가 많지 않다.

물론 튜터링이나 스터디그룹을 만들어 공부를 하기도 한다. 하지만 수능을 준비하는 만큼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는 없다. 결국 대학 수업시간에 어떻게 공부하느냐가 가장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평소 학교 수업에 참여하는 것이 익숙한 수시 전형 학생들이 정시를 준비했던 학생들 보다 유리할 수밖에 없다.

대학 공부는 스스로 공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수능 준비를 할 때처럼 학원이나 학교 선생님이 주는 문제풀이를 열심히 한다고 해서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없다. 모르는 것에 대해 직접 도서관에서 자료를 찾아야하고, 교수님을 찾아가서 물어봐야한다. 능동적인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이야기다.
 

   
▲ 한양대학교 입학처 http://goo.gl/ogsoQX



학생부종합전형 합격자, 정시합격자보다 대학성적 우수
지난 3월,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에서 ‘학생부종합전형 3년의 성과와 고교 교육의 변화’를 주제로 서울 소재 10개 대학이 모여 발표 및 토론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 심포지엄에는 경희대, 고려대, 서강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등이 참여해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의미 있는 자료를 발표했다.

전형 유형에 따른 입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조사한 결과, 10개 대학 모두 정시로 입학한 학생보다 학종로 입학한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시 입학생의 성적이 수시 입학생보다 높았던 것은 2015년의 2개 대학 뿐이다. B대학이 2015년 정시에서 3.50의 성적으로 학생부종합전형의 3.33점을 0.17점 앞섰고, C대학이 2015년 정시위주 입학생들이 3.40으로 학생부종합전형 3.38점을 0.02점 앞섰다. 따라서 종합적으로는 2015년과 2016년 통틀어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자가 정시 입학자보다 높은 성적을 유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과 2016년의 평균으로 보면 A대학은 0.22점 차이가 나고, B대학은 0.06, C대학은 0.12, D대학은 0.25, E대학은 0.21, F대학은 0.05, G대학은 0.22, H대학은 0.19, I대학은 0.3, J대학은 0.15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개 대학 중 정시 입학자와 학종 입학자의 점수 차이가 가장 큰 대학은 0.3점의 차이를 보였고, 가장 차이가 적은 대학은 0.05점의 점수 차이를 보였다. 또한 10개 대학 평균 점수 차이는 0.177점으로 나타났다.

■ 전형유형별 입학생 학업성취도

대학명 입학년도 학생부종합 학생부교과 수능위주
재학인원 학업성취도 재학인원 학업성취도 재학인원 학업성취도
A 2015 1,844 3.2     1,010 3.01
2016 1,953 3.09     917 2.82
총합계 3,797 3.14     1,927 2.92
B 2015 635 3.33 388 3.27 626 3.5
2016 684 3.3 436 3.23 564 3.02
총합계 1,319 3.32 824 3.25 1,190 3.26
C 2015 1,057 3.38 317 3.49 584 3.4
2016 1,144 3.48 316 3.35 499 3.25
총합계 2,201 3.44 633 3.42 1,083 3.32
D 2015 772 3.26     144 3.11
2016 776 3.24     150 2.9
총합계 1,548 3.25     294 3
E 2015 1,060 3.6     1,220 3.39
2016 1,158 3.61     1,172 3.41
총합계 2,218 3.61     2,392 3.4
F 2015 393 3.24 163 3.26 925 3.23
2016 491 3.22 253 3.19 789 3.12
총합계 884 3.23 416 3.22 1,714 3.18
G 2015 557 3.25 186 3.19 1,038 3.08
2016 549 3.33 150 3.25 1,179 3.05
총합계 1,106 3.29 336 3.21 2,217 3.07
H 2015 418 3.41 570 3.49 1,179 3.27
2016 499 3.48 581 3.45 1,244 3.24
총합계 917 3.45 1,151 3.47 2,423 3.26
I 2015 234 3.22 215 3.12 687 2.91
2016 597 3.2     596 2.89
총합계 831 3.2 215 3.12 1,283 2.9
J 2015 1,302 3.39 303 3.55 1,709 3.25
2016 1,665 3.42 427 3.48 1,333 3.26
총합계 2,967 3.41 730 3.51 3,042 3.26


사실 0.18점은 아주 사소한 차이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한 두 사람이 아니라 전체 약 2만 명의 육박하는 학생들의 성적 평균이다 보니 매우 유의미한 자료가 된다.
 

   
 

학종 합격자 성적이 더 높은 이유는 학교에서 공부하고 활동하는 것에 익숙하기 때문이다. 선생님과 소통하며 공부하는 것이 익숙한 학생이 교수와의 소통도 원활하다. 고교에서 여러 활동을 하며 발표나 소논문을 작성해 본 경험이 대학평가에 고스란히 반영된다. 고등학교 내에서 성적을 관리하던 습관이 대학교에서도 그대로 나오는 것이다.

한편, 대학의 교수들도 학종 합격자들의 수업참여도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양대 B학과 H교수는 수업에서 활발한 질문을 하는 학생들을 살펴보면 학종 합격자들이어서 학종으로 합격한 학생들을 다시 보게 됐다고 말했다.


학종합격자, 정시합격자보다 중도탈락률도 낮아
이날 자료 중,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선발된 학생의 중도탈락률도 정시로 입학한 학생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학에서 학생들이 학교에 얼마나 잘 적응했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자료가 중도탈락비율이다.

학생부종합전형의 중도탈락비율은 2015년에 10개 대학 총 입학인원이 8,527명이고 중도탈락인원은 295명으로 3.5%를 차지했다. 반면 정시의 경우 입학인원 1만 2,019명 중 1,005명이 중도 탈락해 8.4%의 비율을 차지했다.

2016년에는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인원 7,638명 중 161명이 중도 탈락해 1.7%의 비율로 나타났고 정시는 입학인원 1만 1,200명 중 377명이 탈락해 3.4%의 비율로 나타났다. 2015년과 2016년의 평균 비율은 학생부종합전형은 2.5%, 정시는 6%로 3.5%의 차이를 보였다.

■ 전형유형별 입학생 중도탈락률

입학년도 학생부종합 수능위주
입학인원 중도탈락인원 비율 입학인원 중도탈락인원 비율
2015 8,527 295 3.5 12,019 1,005 8.4
2016 9,638 161 1.7 11,200 377 3.4
총합계 18,165 456 2.5 23,219 1,382 6


실제로 학종 100%로 선발하는 포항공대의 2016년 중도탈락률은 9명이 탈락해 겨우 0.5%에 그친다. 서울대나 카이스트보다도 낮은 수치다. 포스텍 김도연 총장은 학생부종합전형에 맞는 학생이야말로 사회가 대학에 요구하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하며 “사회가 사람을 점수로 재단하는 병폐를 없애기 위해 대학이 진통을 견뎌내고 학생과 학부모를 설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2018 수시 백전불태> 출간 https://goo.gl/7JtUvY
저작권자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