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의 해결은 '국민의 화해와 통합, 평화와 인권의 확고한 밑받침'

   
▲ 제주 평화공원 내 위치한 희생자 묘역 [사진 출처=kfem.or.kr]

오늘은 4월 3일 ‘제주 4·3사건’이 일어난 지 70주년을 맞는 날이다. 70년 전, 제주에서는 1947년 3월 1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약 7년 7개월 간 대규모 학살사건이 벌어졌다.

동족상잔의 비극, ‘제주 4·3사건’
발단은 1947년 3·1절 기념행사에서 발생한 경찰의 발포 사건이다. 말을 탄 경찰의 말발굽에 채여 어린 아이가 다쳤는데 경찰은 그냥 지나쳤다. 군중이 돌멩이를 던지며 항의했고, 경찰은 경찰서를 습격하는 것으로 오인해 군중을 향해 발포했다. 이 일로 6명이 죽고 6명이 부상을 입었다.

민심이 격앙된 제주도민들은 3월 10일부터 제주도청을 시작으로 민관 총파업을 시작했으며 이 파업에는 제주도 대부분의 행정기관과 학교 등 제주 직장인 95%에 달하는 4만여 명이 참여했다. 경찰은 3월 15일부터 파업 관련자 검거에 나섰고, 이 과정에서 수감자 석방을 요구하는 군중에 또 다시 발포한다.

   
▲ 초등 진로 진학 시사 인문 교양지
<톡톡 매거진> https://goo.gl/ug8hyx

1947년 11월 14일 유엔총회는 한반도에서 인구비례에 의한 총선거를 실시하자는 미국 안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이 안이 소련의 거부로 실현될 가능성이 희박해지자 남한만의 단독선거가 대두됐고, 한반도가 남과 북으로 분단되리라는 우려에 좌파 진영뿐 아니라 우파 일부와 중도파까지 격렬히 반발했다.

1948년 4월 3일 새벽, 남조선로동당(남로당)은 남한 단독선거 및 단독정부 수립 반대와 조국의 통일 독립, 반미 구국투쟁 등의 일환으로 350명의 무장대를 이끌고 도내의 경찰서 및 우익단체 주요인물의 집을 공격했고, 이로 인해 경찰 4명과 민간인 8명, 무장대 2명이 사망했다.

경비대와 무장대는 이후 전투를 중단하기로 합의하는 듯 했으나, 강경 진압 정책과 방화사건 등으로 합의가 파기되면서 사태는 더욱 악화됐다. 5월 10일 치러졌던 남한 단독선거에서 제주도는 투표수 과반수 미달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무효 처리됐고, 11월 17일에는 제주 전역에 계엄령이 선포됐다.

1948년 8월 15일 남한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다음달 9월 9일 북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남한의 이승만 정부는 제주도 문제를 정권의 정통성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한 것이다. 토벌대는 무장대에 협조한다며 양민들을 학살했고, 무장대도 협조하지 않은 마을 주민들을 살해했다.

현재 4·3 사건의 공식 희생자는 1만 4,232명으로, 이 중 사망자는 1만 244명에 달하고 유족은 5만 9,426명이다. 2003년 발간된 ‘4·3 진상보고서’는 “인구 동향 등의 자료를 고려하면 4·3으로 인한 인명 피해는 총 2만 5,000~3만 명이 될 것”이라고 추정했다. 4·3은 7년 간 당시 제주도 인구의 10%가량이 희생된 현대사의 비극이었다.

서울, 제주에서 열리는 4·3 추모 행사

   
▲ <2019학년도 수시·정시 백전불태>
http://bit.ly/2E0cWlx

한편, 제주 4·3사건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한 행사가 서울과 제주 등지에서 열린다. 오늘 오전 10시부터 4월 7일 오후 8시까지 서울 광화문광장에는 4·3사건 희생자들을 기리는 시민 추모공간이 설치·운영되며, 오후 4시부터는 ‘403 광화문 퍼포먼스’ 행사가 진행된다.

또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는 6월 10일까지 ‘제주 4·3 이젠, 우리의 역사'라는 주제의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특별전에는 4·3사건 관련 사료와 유품, 미술작품이 전시되며 관람료는 무료이다.

제주에서도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슬픔에서 기억으로, 기억에서 내일로’라는 주제로 오전 10시부터 70주년 제주 4·3사건 희생자 추념식을 진행한다. 추념식에는 2006년 故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12년 만에, 2014년 국가기념일 지정 이후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인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해 추념사를 낭독하기도 했다.

해방 이후 좌우 이념 혼란기, 제주에서는 수만 명의 주민이 무자비한 폭력에 희생당했다. 4·3사건은 독재 권력에 눌려 오랜 세월 진상규명 조차 금기시 됐으며, 진실은 은폐되고 왜곡됐다. 그러나 국가권력에 의해 저질러진 잘못은 반드시 정리하고 넘어가야 한다. 

대통령의 추념사에서처럼 ‘4·3의 완전한 해결이야말로 제주도민과 국민 모두가 바라는 화해와 통합, 평화와 인권의 확고한 밑받침이 될 것’이다.


*에듀진 기사 원문: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581

   
▲ 진로진학의 고민 <나침반36.5도> 한 권으로 해결! http://goo.gl/bdBmXf
저작권자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