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학생의 세특 입력, '뜬구름 잡기'에 '복붙' 행태 부활하나

   
▲ 충북정보올림피아드대회에 참가한 학생들 [사진 제공=충북교육청]


대전 이문고등학교 김동춘 교장은 개인 페이스북 계정에 교육부가 최근 발표한 학생부 기재방식 개선안을 조목조목 비판하는 시리즈 글을 올렸다. 교육부가 학생부를 오로지 입시 자료로만 인식하고 학생 성장의 기록이라는 점을 도외시한 채 근본 없는 개편안을 내놨다는 것이다.

<에듀진>은 김동춘 교장이 교육부에 던지는 짧지만 따끔한 일성을 연재글로 소개한다. 김 교장이 개인 SNS에 올린 자유로운 형식의 글인 만큼, 원문 고유의 분위기를 해치지 않기 위해 편집을 최소화했다. <편집자 주>
------------------------------------------------------------------ 

■ 교육부가 발표한 학교생활기록부 신뢰도 제고 방안 시안 중 일부

☞ 교원의 기재 부담 완화를 위해 각 항목 특기사항의 입력 글자 수 축소
☞ 학생부 누가기록 기재 및 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교육감에게 관련 사항 위임

■ 학생부 기재 내용 개편안

내용 개편안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요소명 및 양식 변경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 ‘성취수준 및 세부능력’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특기사항 기재분량 3,000자 → 1,700자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기재분량 1,000자 → 500자
누가기록 기재·관리 방법 NEIS 전산입력 → 교육감에게 위임


○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특기사항)*’ 입력대상 확대 및 기재 요소명 변경
* 체육·예술(음악/미술) 교과는 ‘특기사항’, 그 외 과목은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 ①학생참여 중심의 교실수업 개선, ②수업-평가-기록의 연계 강화, ③상위권 학생 중심의 기재 문제 해결 등을 위해, 교과 담당 교사는 지도하는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 수업 과정에서의 성취수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①‘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을 ‘성취수준 및 세부능력’으로 변경*하고, ②과목별 정량적 성적과 함께 성취 수준을 기재하도록 학생부 양식 변경
* ‘특기사항’이란 용어로 인해 학업성취도가 뛰어난 일부 학생에게만 기재하는 문제 발생

■ 학생부 기재 입력 범위와 훈령 규정

내용 현행 개편안
입력 범위 학업성적관리위원회에서
입력대상 범위 결정
모든 학생 기재
훈령 규정 과목별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수준의
특성 및 학습활동 참여도 등을
특기할 만한 사항이 있는 과목 및 학생에
대하여 문장으로 입력 
과목별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수준의 특성 및 세부 능력,
학습활동 참여도 등을
문장으로 입력

*자료 출처=교육부 

 

글자 수는 줄이고, 세특은 다 쓰고
뜬구름 잡는 내용에 '복붙' 행태 부활하나
이 시안은 글자 수 줄이는 것이 교사의 기재 부담 완화라는 전제하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교육부는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특기사항)’ 입력 대상을 확대해 모든 학생으로 바꾸었다. 바로 앞의 교사의 기재 부담 완화라는 명분에 취해진 글자 수 축소는 그 명분을 잃어버리는 것이 아닌가.

또 모든 학생을 기재하라고 하면 부정적 언어로 점철될 아이 문제는 어떻게 하라는 것인가. 거짓으로 포장하라는 것인가. 부정적 표현에 대한 문제제기에 학교가 자유로울 수 있다고 보는가. 결국 알맹이 없는 언어유희로 학생부를 작성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교사의 부담 가중이라 할 수 있다. 

더 가관은 바뀐 성취 수준 및 세부 능력의 예시를 “어휘의 다양한 체계와 양상을 정확히 이해함. 모둠별 토의에서 의견을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다른 모둠원의 견해에 대해 질문하거나 해석하며 협력적로 참여함”이라고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성취수준을 나열한다면 학생부는 곧 뜬구름 잡는 이야기들로 가득 차 근거 없는 추상적 언어유희의 장이 되고, 또 사라져 가고 있던 동일한 내용의 복사 문화가 부활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되면 대학은 평가 자료로 이 항목을 신뢰하지 못할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작성한 교사들의 노고도 허사가 되고 말 것이다.

그리고 학습활동 참여도라고 작성한 것도 근거 없는 과정을 나열한 뜬구름 잡는 이야기이다. 즉 구체적이지 않다. 이것은 이미 학생부 기재 요령에서도 지양하고 있는데, 이러한 것을 예시로 든다는 것은 작성하는 교육부의 수준이 낮다는 것이다. 시안의 ’협력적로‘라는 탈자는 이번 시안이 얼마나 조악하게 만들어졌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 에듀진 기사 원문: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744

   
▲ 기적의 성적향상 노트 <스터디 워크북> http://bit.ly/2CfdGzm
저작권자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