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방 규제 논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사진 출처:comedytv.ihq.co.kr, program.tiving.com]

출연자들이 음식을 맛깔스럽게 먹는 모습을 주 내용으로 삼는 방송 ‘먹방’(‘먹는 방송’의 줄임말). 먹방은 TV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유튜브 등에서도 큰 화제를 몰고 다니는 그야말로 대세 콘텐츠 중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먹방과 관련한 논란이 뜨거워지고 있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을 내놓으면서 “2019년까지 폭식을 조장하는 미디어 및 광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모니 터링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 발표
폭식 조장 콘텐츠 관련 가이드라인 개발,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

보건복지부는 최근 한국인의 비만 인구가 급증하는 추세에 따라,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각 부처와 합의해 국민의 건강한 삶 구현을 목표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전체 인구의 5.3% 인 고도비만인구가 2030년에는 9.0%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남자 아동· 청소년 비만율도 26.0%로, 이미 OECD 평균인 25.6%를 넘어섰고, 고도비만율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 OECD 주요 국가 청소년 비만율[사진:톡톡 9월호 캡쳐]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비만에 따른 한 사회·경 제적 손실도 2006년 4조 8,000억 원에서 2015 년 9조 2,000억 원으로 최근 10년간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이 수치는 고령화 등으로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 2018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사진:톡톡 9월호 캡쳐]

이에 따라 복지부는 2022년 41.5%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는 비만율을 2016년 수준인 34.8%로 유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교육 강화 및 건강한 식품 소비 유도, ▲신체활동 활성화 및 건강 친화적 환경 조성, ▲고도비만자 적극 치료 및 비만관리 지원 강화, ▲대국민 인식 개선 및 과학적 기반 구축 등 4개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건강한 식품선택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음주행태 개선을 위한 음주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것뿐만 아니라, 폭식 조장 미디어(TV, 인터넷 방송 등) 및 늦은 시간대 식욕을 자극하는 광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모니터링 체계도 구축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먹방 규제를 둘러싼 찬반 논쟁!
‘필요하다’ VS ‘지나친 간섭’

이처럼 정부가 국민의 비만 관리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먹방을 규제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 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이를 둘러싼 찬반 논쟁이 가열되고 있다. 먹방이 폭식과 비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한쪽에서는 “지나친 간섭”이라는 반발도 나오는 상황이다.

먹방 규제 찬성

   
▲ [사진 출처:먹방 유튜버 ‘밴쯔’]

먹방 규제를 찬성하는 입장은 “불필요한 먹방이 너무 많다”, “남이 먹는 모습을 보면 군침이 돌수밖에 없다” 등 먹방이 과도한 폭식과 비만을 조장해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경기도의 한 유치원교사 김연정(24, 여) 씨는 “어린아이들에게는 TV 프로그램, 특히 유튜브, 아프리카TV 등 인터넷 개인방송의 영향력이 강하게 미친다”며 “정말 과도한 수준의 먹방이라면 정부가 나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서울에 거주 중인 대학생 박지민 (28, 남) 씨도 “늦은 밤 먹방을 보면서 똑같은 메뉴를 따라 야식으로 시켜 먹은 적은 경험이 종종 있다. 하지만 자기 직전, 그리고 한 번에 너무 많은 양을 먹어서인지 다음날 하루 종일 소화도안 되고 살도 굉장히 많이 쪄서 매번 후회를 한다” 고 말하기도 했다.

먹방 규제 반대

   
▲ [사진 출처:먹방 유튜버 ‘입짧은햇님’]

먹방 규제를 반대하는 입장은 “먹방은 그저 보고 즐기는 것일 뿐, 먹방 때문에 비만도가 높아지는 건 아니다”, “국가가 규제로 개인 다이어트를 책임진다는 건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된다”라는 의견이다.
특히 각종 매체에 먹방이나 폭식 방송이 넘쳐나는 것도 사실이지만, 정부가 나서서 방송 내용까지 규제하는 것은 국민건강과 별개로 개인의 ‘선택할 자유’를 침해할 수 있어 지나치 다는 것이다.

또한 일부 네티즌들은 정부의 이 같은 대책이 먹방에 대한 편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맛있는 음식을 대량으로 섭취하는 방송은 폭식을 조장하기보다 오히려 많은 고열량, 많은 양의 음식 그리고 특정 음식을 먹지 못하는 이들에게 ‘대리만족’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매운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한 여성은 “먹방 유튜버가 ‘매운닭볶음면’을 아주 맛있게 먹는 방송을 보며 처음으로 매우 큰 대리만족을 느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복지부 “가이드라인일 뿐, 규제는 아냐”
한편, 보건복지부는 먹방 관련 가이드라인을 만들 계획이었던 건 사실이지만 이는 법적인 효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규제라고 보긴 어렵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비만 대책을 살펴보면 규제라는 말이 들어가 있지 않다”며 “극단적인 먹방에 대한 해로움을 알려 사회적 분위기를 환기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만들겠다는 것이지, 그 이상 혹은 그 이하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예를 들어 가이드라인에는 햄버거를 몇 십 개 쌓아두고 몇 분 안에 무리하게 먹는 먹방이 있다면, 방송 시작 전에 ‘이런 행동(폭식)이 비만 등 여러 가지 질병을 일으킬 수 있으니 청소년은 따라하지 말라’라는 등 주의를 요하는 문장을 넣는 것을 권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추후 방송국 관리자나 플랫폼 사업자들과 함께 일정 시간 이후 진행되는 먹방에 대해서 어떤 안내 문구를 넣으면 좋을지 토론해 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http://www.365com.co.kr/goods/view?no=4
저작권자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