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을 이용한 자기회복이 가능해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레이저 포인터의 불빛만으로 끊어진 부위를 원상복구할 수 있는 전기회로가 개발됐다.

성균관대학교 성균나노과학기술원(SAINT) 이승우 교수와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 박정기·김희탁 교수 공동연구팀은 '빛을 이용한 자기회복 전기회로'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빛을 이용한 자기회복 전기회로'는 레이저를 2분 정도 쬐는 것만으로도 끊어진 부위를 원래 상태로 되살릴 수 있는 전기회로다.

최근 휘어지는 전자기기가 나오면서 금속으로 된 복잡한 전기회로의 활용이 낮아지고 있다. 부러지는 등 균열로 인해 불량품이 생길 수 있고, 고장난 부분만 수리하기가 어려워 아예 못쓰게 되는 경우도 많다.

연구팀은 빛의 편광(偏光) 방향과 나란히 움직이는 아조고분자를 휘어지는 성질이 있는 연성필름에 코팅했다. 그 위에 전기가 잘 통하는 은나노와이어(은으로 이루어진 나노사이즈 막대기)를 겉에 발라 휘어지는 전기회로를 완성했다.

이 전기회로는 접거나 비틀어도 잘 작동되는 연성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휘어지는거나 입을 수 있는(웨어러블) 전자기기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 끊어졌을 경우 손쉽게 수리할 수 있다.

이승우 성균관대 교수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레이저를 쏘면 끊어진 전기전도를 회복하는 전기회로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며 "이번 기술에는 기존에 자기회복 전기회로 기술의 한계였던 복잡한 회복 과정이 없다"고 밝혔다.

박정기 카이스트 교수는 "휘어지는 전자기기에서 전기회로가 끊어지는 문제를 해결해 전자기기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길을 열었다"며 "영화 속 아이언맨도 탐낼 만한 차세대 신기술"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달 16일 재료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실렸다.

 

저작권자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