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공학기술자의 근무 환경
-향후 10년간 취업자 수 전망
-관련 학과 및 관련 자격
-재료공학기술자 직업 전망 

*사진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재료공학기술자 
재료공학기술자의 업무는 금속재를 비롯한 비철금속재료, 세라믹재료, 반도체재료, 복합재료 등을 처리 및 제조하는 현장에서 지휘·감독하거나, 이러한 과정에서 재료의 특성을 연구·개발하는 일을 수행한다. 

어떤 일을 하나요? 
재료공학기술자는 모든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금속재를 비롯한 비철금속재료, 세라믹 재료, 반도체재료, 복합재료 등을 처리 및 제조하는 현장에서 지휘·감독하거나, 이러한 과정에서 재료의 특성을 연구·개발하는 업무에 종사한다.

종사하는 주요 산업 분야는 소재 개발 및 소재 생산을 위한 공정 분야로, 이들은 재료공학의 연구를 통하여 소재의 본질을 규명·이해하고, 그 소재의 특성을 극대화해 응용한다. 

철강 및 비철금속 제조 분야에서 일하는 금속재료공학기술자는 원광석을 녹여 유용한 금속을 추출하는 제련 및 정련 등의 공정을 비롯해 각종 금속을 이용해 합금 또는 금속제품을 생산하는 제조공정을 관리한다.

또 이러한 작업과 관련된 화학적·물리적 분석과 연구도 수행한다. 철강 및 비철금속 제조 분야는 금속제련 및 비철금속제련, 금속재료 및 비철금속 재료개발, 금속 및 비철금속 가공의 세 분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주로 철강 제조업에서 근무한다. 

세라믹 등 기초 소재 분야에서 일하는 비금속 재료공학기술자는 구조 세라믹스 기술자와 전자기 기능성 세라믹 기술자로 구분되는데, 주로 소결공정, 용액공정, 정밀정형(Near Net Shape) 공정, 후막공정 및 박막공정 등을 통해 유전재료, 압전재료 및 소성형 소재 등을 개발·가공한다. 

고분자 등의 화학소재 분야에서 일하는 고분자재료공학기술자는 기존의 섬유산업에서 고기능, 고감도, 친환경 섬유소재 및 고부가가치의 산업용 섬유소재 개발을 위해 일하지만, 요즘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자산업용 고분자소재산업의 발달로 광전기능소재, 고분자 나노 복합재, 의료용 고분자 소재 및 친환경 고분자 소재의 개발 및 생산공정에서 일하고 있다. 

근무 환경 
금속제조업체, 비금속제조업체, 화학물제조업체 등에서 소재 개발을 위한 공정 연구·관리 작업을 수행하거나 소재 생산현장을 운영·감독하게 된다. 제련, 제강 및 용접, 주조 등의 현장작업은 열, 분진 비산, 공기 오염, 소음 등이 많은 환경이다.

이 밖에 연구 분야에서는 금속소재 및 비금속소재에 대한 전기적·화학적 실험을 할 때가 많아 화상 및 사고가 우려되므로 이에 주의해야 한다. 

■ 재료공학기술자의 근무 환경 

*자료 출처: 통계청(2017), 「지역별고용조사」

재료공학 기술자는 남성비율이 높으며 연령별로 40~50대에 주로 분포돼 있다. 학력별로 볼 때 대졸과 전문대졸의 비율이 높은 편이며 종사자의 임금 중앙값은 월 300만 원으로 나타났다. 

잠재력 깨우는 청소년 매거진 월간 '톡톡' 구독 신청 클릭!
잠재력 깨우는 청소년 매거진 월간 '톡톡' 구독 신청 클릭!

어떻게 준비하나요? 
전문대학 또는 대학에서 금속공학과, 재료공학과, 신소재공학과 등의 관련 학과를 졸업해야 한다. 학부 및 대학의 전공 교육과정에서 금속 및 비금속재료의 제조, 가공, 사용 개발에 필요한 공학적 지식과 이론을 습득하는 것이 기본이다. 연구개발 분야는 관련 학과의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요구되며, 입사 후 추가로 실무교육을 받는다. 

관련 학과 
금속공학과, 재료공학과, 무기재료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응용소재공업과, 신소재응용과, 세라믹공학과, 전자재료공학과, 항공재료공학과, 재료정보과, 반도체공학과, 응용화학공학과, 화공생명학과, 화학시스템공학과, 나노화학공학과 등 

관련 자격 
금속제련기술사, 금속가공기술사, 금속재료기술사/기능장/기사/산업기사, 금속재료시험기능사, 비파괴검사기술사, 자기비파괴검사기능사/기사/산업기사, 방사선비파괴검사 기능사/기사/산업기사,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기사/산업기사,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기사/산업기사, 재료조직평가산업기사, 표면처리기술사/기능장/기능사/산업기사, 세라믹기술사, 반도체설계기사(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 

적성 및 흥미 
소재의 본질을 규명하고, 그 소재의 특성을 극대화해 응용하는 일을 담당하므로, 분석적인 사고를 하고 혁신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다. 품질관리분석과 기술의 분석 설계, 장비 선정 및 수리력이 요구되며, 화학, 상품제조 및 공정 물리학, 공학과 기술 등의 지식을 갖춘 사람에게 적합하다. 

경력 개발 
제철소, 철강 제조회사, 시멘트 등 제조회사에 근무하게 되며 전자, 조선, 자동차, 항공기, 반도체 등의 분야에까지 진출할 수 있다. 수시로 공개채용을 하고 있다. 이 분야에서 연구원으로 종사하려면 석사 이상의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입사 후 관리 및 감독의 업무를 거쳐 제조 및 기술 담당 관리자로 승진할 수 있다. 연구·개발 업무를 하면서 충분한 경력을 쌓거나 박사학위 등의 학위를 취득하면 연구책임자로 성장할 수 있고 독립적인 프로젝트 수행이 가능하다. 이 외에 신소재 분야 등에서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전문가는 정부기관 및 산업체의 자문역으로 진출할 수 있다. 

직업 전망은 어떤가요? 

■ 향후 10년간 취업자 수 전망 

*연평균 증감률(%) 
*자료 출처=한국고용정보원, 2019 한국직업전망

향후 10년간 재료공학기술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재료공학기술자의 고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는 소재부품산업 관련 3대 업종의 사업체 수를 살펴보면, 매년 미미한 수준에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반적인 증가세를 고려할 때 향후 10년간 고용현황은 현 상태를 유지하는 차원에서 소폭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 소재부품관련 3대 업종별 사업체 수 

*자료 출처: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

재료공학기술자의 경우 탄소소재 및 융합소재 등 신소재 부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일부 관련 고용이 증가될 수 있으며 3D프린팅의 소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등 4차산업혁명 등에 기반한 융합 소재와 신소재 분야 시장의 확대가 예상되며 이에 따른 고용 증가요인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경량화 소재 등의 수요가 창출되어 고용 증가요인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상대적으로 기존 뿌리산업인 재료산업의 침체로 인한 철강, 비철금속 등 뿌리산업의 침체는 재료공학기술자의 고용에 부정적일 수 있고, 공장의 해외이전이 본격화되면 반도체, 전자산업 등 생산공장의 해외이전으로 국내 산업의 위축이 예상되어 고용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재료공학기술자 직업 전망 

*자료 출처=한국고용정보원, 2019 한국직업전망

종합하면, 기존 재료공학기술자의 고용을 좌우하던 산업분야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신산업 분야에서 활용된 신소재, 고분자 섬유, 융합소재 등에 대한 개발 및 제조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향후 10년간 재료공학기술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직업 
기계공학기술자 

관련 정보처 
대한금속·재료학회: (02)557-1071, www.kim.or.kr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02)3420-1200, www.kofst.or.kr 
한국산업인력공단: 1644-8000, www.hrdkorea.or.kr 
한국폴리텍대학: (032)650-6780, www.kopo.ac.kr 

*출처: 한국고용정보원, '2019 한국직업전망'

*에듀진 기사 원문: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466

학종 합격하는 학생부 만드는 법! '학종 절대법칙' 자세히 보기 클릭!
학종 합격하는 학생부 만드는 법! '학종 절대법칙' 자세히 보기 클릭!

 

저작권자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