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안전 위한 실질적 대책 마련 시급
-'심리 지원 프로그램' 마련해야
-학사일정 재조정, 수업시수 감축 가이드라인 신속히 제시해야
-긴급 돌봄의 실질적 지원 아끼지 말아야
-학교 현장과의 긴밀한 소통 채널 마련해야

*사진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코로나19가 하향 국면에 접어들고는 있으나 여전히 지역 감염의 불씨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교육부와 각 시·도 교육청이 세 번째 개학 연기를 결정했습니다.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의 고심 끝에 내린 결정을 존중합니다. 이에 전교조는 사상 초유의 개학연기 사태를 맞아 학교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후속 조치를 제안합니다. 

아이들의 안전 위한 실질적 대책 마련 시급 
먼저 휴업 기간뿐 아니라 개학 이후에도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전례와 상식을 뛰어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개학만 연기한다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습니다. 학생들을 지키기 위한 강력한 선제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무슨 일이 있어도 아이들을 지켜야 합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배움을 뒤로 미룰 수은 없습니다. 아이들은 우리의 미래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기존의 규정과 지침에 얽매이지 말고 매일 학교를 소독해야 하고, 모든 학생들에게 마스크를 배포하며 각 교실에 손소독제를 비치해야 합니다. 또한 지역교육지원청 단위로 비상방역반을 운영해 학교 방역에 하루라도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책임성을 강화해야 합니다. 

학생들이 밀접 접촉할 수 있는 모든 학원은 휴원하고, 학생들이 많이 찾은 노래방, 피시방도 개학 전까지 폐쇄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에 협조 요청을 해야 합니다. 적어도 개학 전까지는 사회적 거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또 교실 공간의 재배치와 수업 형태를 전환해야 합니다. 학년별 등교시간을 조정하고 반별 인원수를 줄여야 합니다. 코로나19 사태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 아래서 장기적인 준비가 필요합니다. 

'심리 지원 프로그램' 마련해야 
두 번째로 온라인 학습 지도도 필요하지만 ‘심리 지원(심리적 방역) 프로그램’ 마련이 또한 중요합니다. 

각 시도 교육청은 언론 브리핑을 통해 온라인 학습지도 강화를 내세워 학생들의 학습 공백을 채워주겠다고 했습니다. 물론 장기간 휴업으로 학생과 학부모가 단순한 일상에 갇혀있고, 학습 공백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온라인 학교 수업을 통해 학습 공백이 채워질 수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단순히 온라인 수업 지도 강화라는 명목으로 학년별 시간표를 편성해 학교 수업처럼 영상을 내보낸다고 해서 그 효과를 거두기는 어렵습니다. 

이 온라인 수업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법적인 수업시수로 인정하기 위한 시도교육감협의회와 교육부에 건의하는 것과 함께 학생들의 참여 분위기를 확산시켜야 합니다. 

또한 학습의 주체인 학생들의 불안 심리를 제거해 학습 의욕이 넘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생들 스스로가 차분히 감정을 들여다보고 ‘마음 돌봄’에 집중할 수 있게 교육적으로 도와야 합니다. 

정신의학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급별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제작·배포하고, 교사들이 구체적 상황에 실질적 대응을 할 수 있게 지원해야 합니다. 

학사일정 재조정, 수업시수 감축 가이드라인 신속히 제시해야
세 번째로 학사일정 재조정, 수업시수 감축에 대한 가이드라인 등 신속한 후속 조치가 필요합니다. 

현재 학교 현장은 학사일정 수정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교육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급히 전체 학사 일정 운영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합니다. 효율적인 학습과 휴식으로 학생들의 학습권과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수업일수와 수업시수 감축이 반드시 병행돼야 합니다. 

교육부가 이러한 요구를 받아들여 수업시수 감축을 하도록 한 것은 적절한 조치입니다. 수업 시수 감축에 대한 충남교육청 가이드라인 등 신속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장 교사의 의견 수렴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긴급 돌봄의 실질적 지원 아끼지 말아야 
학교 구성원 간 불필요한 갈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세밀한 돌봄 지원 대책이 필요합니다. 

학교는 ‘교육’의 공간이며 교사들은 ‘교육’의 주체입니다. ‘보육 활동’인 ‘돌봄’은 원칙적으로 지역사회로 이관돼야 하나, 지금껏 주객이 전도돼 교육 활동에 집중해야 할 교사들이 돌봄 업무를 떠맡아 왔습니다. 긴급 돌봄 시간이 연장된 후 그 부담은 더 커졌습니다. 

현재 비상 상황임을 고려해 교사들은 묵묵히 긴급 돌봄까지 감내하고 있으나 교사를 바라보는 학교 밖 시선은 왜곡돼 나타나기도 합니다. 국가 재난의 휴업 상황임을 감안해 긴급 돌봄에 참여하는 학교 구성원 간에 불필요한 갈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세밀한 돌봄 지원 대책이 필요합니다. 

학교 현장과의 긴밀한 소통 채널 마련해야 
끝으로 학교 현장과의 긴밀한 소통 채널 마련이 시급합니다. 

3차에 걸쳐 개학 연기가 이루어지는 긴급한 상황임을 감안하더라도, 집행 주체인 학교가 언론 보도를 통해 그 결정을 접하는 일이 반복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학교 현장의 준비 정도를 서로 공유하고, 교육 주체들의 다양한 의견을 들어 다층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것입니다. 

사상초유의 어려운 시국임을 모르는 교육주체는 아무도 없습니다. 이럴수록 각 시도 교육청은 교육노동단체와 함께 ‘휴업 장기화에 따른 '교육현장대책회의’를 즉시 구성해 앞으로 남은 개학 준비기간과 개학 이후 대응 매뉴얼 마련에 심혈을 기울여야 합니다. 

*에듀진 기사 링크: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626

학종 합격하는 학생부 만드는 법! '학종 절대법칙' 자세히 보기 클릭!
학종 합격하는 학생부 만드는 법! '학종 절대법칙' 자세히 보기 클릭!

 

저작권자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