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 관련직

직업 개요
금속·재료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은 비금속재료의 속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며 세라믹·반도체·합성재료와 같은 기타 재료를 응집시키고 추출하는 공정을 계획·설계·개발합니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을 보면,
- 고분자구조 및 물성, 중합체의 결정성 등에 관한 고분자재료의 구조, 고분자의 합성법, 중합반응 메커니즘과 반응속도, 고분자의 구조 및 분자량 결정법, 고분자의 구조와 물성 간의 상호관계 등 고분자재료의 구조에 관하여 연구합니다.

- 산업 설비의 부식원인을 규명하고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연구하고, 각종 설비와 배관 재료에 대한 물성 및 용접특성, 부식에 대한 방식연구를 합니다.

- 각종 설비와 배관의 물성 및 부식에 대한 진단을 위하여 비파괴기술에 대한 연구를 합니다.
- 화학, 물리적 분석 및 기타연구를 수행하고 재료의 설계, 부식관리방법, 공정검사 및 기타 절차들에 관해 자문합니다.
- 제품검사를 조정하고 비금속재료의 생산공정을 관리합니다.

   
 

교육과정
금속·재료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금속신소재공학과, 금속재료공학과, 금속시스템공학전공, 나노신소재공학과, 재료공학과 등을 졸업하면 유리합니다.
연구개발 분야는 관련 학과의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요구됩니다.

훈련과정 및 자격
관련된 국가자격으로는 금속제련기술사, 금속재료기술사, 세라믹기술사, 표면처리산업기사 및 기술사, 표면처리기능장 등이 있습니다.

기능장은 최고급 수준의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 관리, 소속 기능 인력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계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주는 현장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 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능장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집니다.

취업방법
금속·재료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은 제철소, 철강 제조회사, 시멘트 등 제조회사에 근무하게 되며 전자, 조선, 자동차, 항공기, 반도체 등의 분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중공업, 기계가공, 자동차, 항공기재료, 제강, 정밀기계, 반도체 분야 등에서 활동하며, 정부기관, 연구소 및 교육기관에서 연구개발업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이 분야의 연구원으로 종사하려면 석사 이상의 자격을 갖추어야 합니다.

   
 

흥미 및 적성
금속·재료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은 과학적이고 탐구적인 활동을 선호하며, 금속·재료 등을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일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금속·재료공학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분석적인 사고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필요하고, 수학이나 과학 분야에 대한 지식이 요구됩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석적인 사고를 할 수 있어야 하고, 새롭게 대안을 생각할 수 있는 문제해결력이 필요합니다. 연구개발에서의 혁신적인 사고, 현장에서의 적응력과 융통성이 있는 사람에게 유리합니다.

측정 및 분석의 업무를 하는 경우가 많아 인내심과 끈기가 필요합니다. 연구 및 개발을 위해 팀을 구성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원만한 대인관계가 요구됩니다.

직업 전망
향후 10년간 금속·재료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에 대한 일자리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대규모 기업에서 신소재 개발에 대한 투자와 의지가 커서 세라믹, 고분자 등 신소재 개발부분에 있어서의 인력수요가 예상됩니다.

정부는 나노핵심연구개발사업, 부품소재기술개발사업 및 차세대신기술사업 등을 지원하고, 신소재 개발을 통해 차세대 핵심기술인 생명공학기술, 정보통신기술, 나노기술, 환경공학기술 등을 육성하고 있습니다.

기업체에서도 금속소재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기술과 함께 새로운 성능을 가진 신소재의 개발에 많은 연구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에 금속·재료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의 일자리는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관련 단체 및 기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www.kofst.or.kr
대한금속재료학회 www.kim.or.kr

<자료제공: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미래의 직업세계'>
 

저작권자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