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 지원 전략 '자신을 분석하는 것부터 시작하자'

   
 

수시는 수험생들에게 6번 지원 기회가 있다.  6번의 지원 기회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는 자신의 강점에 맞는 전형을 찾아, 자신에게 유리한 대학을 선택해야 한다.

교육평가기관 유웨이중앙교육(대표:유영산)에서는 6번의 기회를 최대한 살릴 수 있는 6가지 실제 전략을 제시하였다. 

1. 스펙 분석이 먼저다! 현재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진단하라
수시지원전략을 세우기에 앞서 먼저 검토해야 하는 것은 본인의 정확한 스펙이다. 여기서 스펙이라함은 학교생활기록부(이하 학생부)의 교과성적, 비교과 활동내용뿐만 아니라 대학별고사(논술/구술/면접/적성)에 대한 준비 정도와 각 전형별로 설정된 수능최저학력조건의 달성가능성 등까지 포함된다.

또한 정시로 진학을 하는 경우에 어느 정도의 대학을 진학할 수 있을지도 미리 가늠해 보아야하는데, 이는 6월 평가원 수능모의평가 성적을 기준으로 배치표 등을 참고하면 된다.

수시원서 접수 직전인 9월 초에도 수능모의평가가 있으나 시험의 성적표가 원서접수가 끝난 이후에 나오므로 9월 모의평가 가채점 성적은 6월 성적을 기준으로 세워둔 수시지원전략을 최종 점검하는 정도로만 참고하면 된다.

2. 학생부교과전형의 변수는 최저학력기준의 강도와 변동 여부가 좌우된다.
학생부교과전형은 소위 말하는 내신등급과 최저학력기준(일부 없는 대학도 있음)의 달성여부에 따라 당락이 결정되는 전형이다. 교과성적을 반영하는 방식이 각 대학마다 서로 다르므로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들의 요강을 참조해서 본인의 성적패턴에 좀 더 유리한 반영을 해주는 대학을 우선 검토해보도록 하자.

그러나 학생부교과전형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대학의 서열과 합격 가능한 등급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in) 서울 대학의 인문계열은 2등급, 자연계열은 3등급이 지원가능한 교과등급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각 대학의 수능최저학력기준의 강도에 따라 합격선이 많이 내려오는 경우가 많다. 최저학력기준이 동일하다면 비슷한 결과를 예상할 수 있으나, 작년보다 최저학력기준이 강화되었다면 합격가능점수는 작년보다 내려올 것이다. 

반대로 최저학력기준이 완화되거나 없어졌다면 작년에 비해 합격선은 많이 올라갈 것이다. 즉, 학생부교과전형에 지원할 때 가장 중요시 되는 것은 본인의 내신등급 못지않게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최저학력기준의 강도와 변동여부이다. 따라서 ‘나는 내신이 4등급이니까 학생부교과전형은 힘들겠지’ 하는 막연한 오해 때문에 소중한 합격의 기회를 날려버리지 않도록 주의해야겠다.

3. 학생부종합전형, 상위권 수험생 전유물 아니다! 교과 4등급대 학생들도 노려봐라
작년부터 대입전형간소화가 실시되고 기존에 있던 입학사정관제가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명칭을 바꾸면서 선발인원이 대폭 늘어 많은 학생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학생부종합전형이 내신관리와 비교과관리가 잘된 상위권 학생들의 전유물이라는 생각이 널리 퍼져있는 것 같다.

기존에는 내신 성적관리가 잘 안된 중위권 학생들은 적성고사전형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는데 적성고사전형의 모집인원이 줄면서 아예 수시지원을 포기하는 학생들도 많이 생겨나는 편이다. 하지만 내신 교과등급이 3~5 등급대인 학생들도 학생부종합전형을 적극적으로 지원을 해야 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은 내신에 대한 정량평가가 아닌 정성평가를 실시하므로 사실 특정 대학에 지원가능한 내신 등급이라는 것은 없지만, 굳이 기준을 정한다면 학생부교과전형으로 지원가능 수준이 3등급 정도인 대학은 교과 등급이 4등급대인 학생들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지원해 볼만하다.

각 대학이 발표하는 전년도 입시결과를 참고해보면 학생부교과전형의 합격자보다 학생부종합전형의 합격자가 보통 1등급 정도 내신 성적이 낮은 것을 발견하게 된다.

이런 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중하위권대학의 경우 교과전형의 합격선에 드는 학생은 당연히 교과전형으로 지원을 할 것이고, 결국에 종합전형은 교과전형으로 지원이 불가능한 학생들끼리 경쟁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위권 수험생이라도 본인의 학생부 비교과를 평가절하해서 소중한 지원기회를 날려버리지 않도록 해야겠다.

4. 논술 전형은 최저학력기준으로 상향 2개, 소신 2개, 적정 2개 전략을 섞으라
논술전형은 목표대학의 학생부전형의 지원기준에 들지 못하는 중상위권 대부분의 학생들이 선호하는 전형이다. 일부 대학을 제외하면 많은 대학이 최저학력기준을 두고 있으며 논술실력 못지 않게 수능최저학력기준 달성여부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또한 수능이후 논술전형을 실시할 수 있는 기간이 짧아져 많은 대학이 고사일이 서로 겹쳐 수시 6회 지원을 논술로만 채운다는 것이 아주 힘들어졌다. 따라서 6회 지원을 모두 논술로만 생각하고 있는 학생이 있다면 방법은 수능 이전에 실시하는 논술전형에도 지원을 하거나, 수능 이후의 논술전형은 일정이 겹치더라도 최저학력기준을 달리하는 두 개 대학을 지원하는 것이다. 실제 어디에 응시하러 갈지는 수능 가채점이후 결정해도 된다는 뜻이다.

흔히 수시에서 지원은 상향 2개, 소신 2개, 적정 2개를 섞을 것을 권하는데 이는 논술전형의 최저학력기준에도 그대로 적용이 된다. 현재 2개영역 등급합이 6등급이 나오는 학생의 경우 최저학력기준이 등급합 5인 대학 두 군데, 등급합이 6인 대학 두 군데, 등급합이 7인 대학 또는 최저학력기준이 없는 대학으로 두 군데를 지원하는 것이 좋다.

즉, 수능에서 성적이 더 오를 것도 감안하고 성적이 떨어지는 것도 대비를 해서 지원해야한다. 논술전형에 지원하는 학생들의 50% 이상이 실제 최저학력기준을 만족하지 못해서 응시 기회조차 갖지 못한다는 점을 명심하도록 하자.

5. 6회 지원 횟수에 적용받지 않는 대학을 찾아 보너스 기회로 삼으라
수시지원가능 횟수는 6회까지이다. 하지만 일부 특정대학에 대한 지원은 횟수에 포함이 되지 않으니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하자.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대학과 산업대학은 수시지원횟수에 포함이 되지 않는 대학이므로 이들 대학에 지원하는 것은 일종의 추가기회를 얻게 되는 것이다.

우선 자연계열 상위권학생들은 KAIST, GIST, DGIST, UNIST 에 지원하는 것도 적극 검토해 보아야한다. 특히 올해는 과학고 조기졸업제한이 되는 첫 해이므로 일반고 상위권 자연계학생들에게는 아주 좋은 기회가 된다. 또한 산업대학인 청운대와 호원대도 지원횟수에 계산이 되지 않는 대학이므로 중하위권 학생들은 눈여겨 봐두길 권한다.

6. 지원 전략을 혼자 세우려다 힘 빼지 말고, 학습에 더 집중하라
결국 수시도 수능 최저학력 기준의 영향력이 크다. 따라서 수험생들은 지원전략을 세우거나 대학별고사 일정에 과도한 시간을 투자하기보다 실제 수능 학습에 더 매진해야 한다.

수능 이전에 실시하는 대학별고사에 너무 많이 응시하다보면 정작 중요한 수능준비에 소홀해지기가 쉽기 때문에 수능 이전의 대학별고사는 가급적 적을수록 좋고, 많아도 2~3개는 넘지 않도록 일정을 감안하여 지원하도록 하자.

또한 각 대학의 1단계 합격자 발표가 수능이전에 있는 경우에 1단계 불합격을 하더라도 담담하게 수능을 준비할 수 있는 학생도 있지만, 1단계 불합격으로부터 심리적으로 무너져 수능까지도 영향을 받는 학생도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본인의 심리적 성향도 신중히 고려해서 지원전략을 수립해야한다. 성적이 비슷하다고 해서 지원전략도 비슷하게 나오는 것이 절대 아니다.

본인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여러 가지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지원전략을 수립하고, 선택한 전략이 성공을 거둘 수 있도록 남은 기간 집중해서 노력해야 할 것이다. 혼자서 지원전략을 수립하는데 많은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지원전략이 성공하도록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을 마지막으로 당부한다.

 

저작권자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