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수시분석] 철학과 논술전형 최근 3개년 경쟁률

- 인문계열 중 견고한 지원 흐름… 변동은 있지만 기반 수요는 계속된다 - 경쟁률 최고 한양대 196.3:1, 최저 인하대 31.5:1

2025-11-24     박민규 기자
[사진=한양대]

철학과 논술전형의 경쟁률이 올해 다시 상승곡선을 그리며, 인문논술의 지원 심리가 여전히 강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대학별로 경쟁률 변화 폭은 달랐지만 전반적으로 중상위권 대학까지 경쟁률 상승이 확대되며 인문계 논술의 ‘안정적 수요층’이 재확인됐다고 볼 수 있다.

■ 철학과 논술전형, 주요 대학 중심으로 경쟁률 재상승… 안정적 모집에도 상향지원 흐름 이어져
철학과 논술전형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곳은 한양대로, 196.3: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지난해 221.7:1에서 소폭 낮아졌지만 여전히 전국 최상위 수준의 경쟁률을 자랑한다. 인문논술 중에서도 철학과는 출제 경향이 명확하고 지원층이 뚜렷한데, 이 점이 한양대의 극단적인 경쟁률 유지로 이어졌다고 분석된다.

경희대 역시 151.4:1로 작년과 비슷한 경쟁률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수요를 보여주었다. 건국대는 121:1에서 96:1로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경쟁률을 보였으며, 고려대는 87.8:1로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64.5:1에서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지원층의 상향 이동이 철학과 전형에서 활발히 이뤄졌음을 보여준다.

■ 소규모 모집대학은 변동성 커… 지원층의 이동이 경쟁률 좌우
단국대는 지난해보다 경쟁률이 하락해 32.3:1을 기록했으며, 인하대 역시 31.5:1수준으로 거의 동일한 흐름을 보였다. 이들 대학은 모집인원이 적고 지원자 이동이 활발해 한 해 경쟁률이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현상이 반복되는데, 올해는 상대적으로 안정되는 방향으로 경쟁률이 조정된 것으로 분석된다.

철학과 논술전형에서는 대학별 규모 차이가 경쟁률을 직접적으로 좌우하는데, 모집인원이 3~5명에 그치는 대학의 경우 지원자 10~20명 차이만으로도 경쟁률이 크게 출렁일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 [AI가 분석한 향후 동향] 철학과 논술은 ‘지속적 수요’ 전망… 전형 축소에도 경쟁률 기반은 유지될 것
AI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향후 철학과 논술전형 경쟁률은 크게 다음의 흐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첫째, 인문논술 축소 기조에도 철학과 논술은 기반 수요가 탄탄해 큰 폭의 하락은 어렵다. 철학과는 글쓰기·논리적 사고에 강점을 가진 수험생이 선호하기 때문에 집중 수요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대학별 경쟁률 격차는 더 커질 것이다. 출제 난도와 기조가 확고한 한양대·경희대·건국대·중앙대 등은 여전히 높은 경쟁률을 유지하겠지만, 중소규모 대학은 지원층 이동에 따라 더 변동성이 커질 전망이다.

셋째, 논술전형 자체의 감소에도 철학과는 전형이 존재하는 한 일정 수준 이상의 경쟁률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최상위·중상위 대학 중심으로 수요 집중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철학과 논술전형은 학과 특성상 안정적인 지지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경쟁률의 세부 변화보다 대학별 출제 경향과 시험 난도에 대한 분석이 더 중요하다.

2026학년도 인서울 및 수도권 대학 철학과  논술전형 가운데 경쟁률이 가장 높은 대학은 한양대 철학과로 196.3: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어 경희대 철학과 151.4:1, 건국대 철학과 96:1, 고려대 철학과 87.8:1, 연세대 철학과 75:1 순으로 경쟁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쟁률이 가장 낮은 대학은 인하대 철학과로 31.5:1을 기록했으며, 단국대(죽전) 철학과 32.3:1, 가톨릭대 철학과 39.8:1, 숭실대 철학과 40.7:1, 한국외대(글) 42:1 순이다.

▶ 2026 철학과  논술전형 최근 3개년 경쟁률

대학명 26
모집인원
26
경쟁률
25
경쟁률
24
경쟁률
한양대 3 196.3 221.7 205.3
경희대 7 151.4 155.3 113.9
건국대 3 96.0 121.0 70.4
고려대 4 87.8 64.5 -
연세대 4 75.0 64.8 82.3
동국대 5 74.4 60.2 63.6
중앙대 6 72.0 64.7 79.4
이화여대 9 62.6 34.2 32.6
한국외대(글로벌) 3 42.0 33.0 22.0
숭실대 3 40.7 33.0 15.3
가톨릭대 4 39.8 38.5 26.5
단국대(죽전) 3 32.3 40.0 27.7
인하대 4 31.5 31.8 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