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 안전관리는 사회 안전 위해 꼭 필요한 일"

   
 

화학물질안전관리사는 화학물질 등록 및 위해성 평가 대행, 유독물 위급시설의 관리계획서 작성 및 관리,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에 대한 업무를 한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환경규제대응실 최요한 박사에게 화학물질안전관리사가 하는 일에 대해 자세히 들어보았다.

[인터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환경규제대응실 최요한 박사

과거 안전 분야는 사고만 나지 않으면 별 문제가 없는 영역으로 치부되었습니다. 화학공정의 경우, 공정별 안전 매뉴얼도 외국의 것을 그대로 번역해 쓰거나 공정에 따라 엇비슷하게 만들어지곤 했습니다. 그러니 매뉴얼을 만들어도 사고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습니다.

담당자들도 화학물질 안전에 대한 전공을 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유사한 자격증을 가지고 있지만 화학물질 안전에 대한 자격증이 없어 직접적으로 업무에 도움이 되지 않는 편이었습니다.

그러다 각종 화학사고가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환경과 인명에 엄청난 피해를 주게 되면서 이 분야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졌습니다.

또 2015년 시행되는 「화학물질 관리법」에 따르면 화학물질 관리에 실패한 기업에 묻는 책임의 강도가 엄청나게 강력해집니다. 사업장 연간 매출의 최대 5%까지 벌금을 물어야 할 수도 있게 된 겁니다. 그렇다보니 기업에서는 전문인력이 더욱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일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학과 개설, 국가자격 개설 등 전문인력 양성 활성화되어야”

   
 

이미 대학과 대학원 등에서는 환경안전공학과 또는 환경안전융합전공과 같은 명칭의 학과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또 산업자원통상부 「환경규제 및 안전전문 인력 양성사업」을 통해서도 화학물질관리 전문인력이 양성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화학물질안전관리기사’ 국가기술자격제도도 논의될 예정이며, 이미 현장에서는 이 자격에 대한 수요도 많은 편입니다.

현재 화학물질 안전과 관련된 일을 하는 인력들이 존재하지만, 아직까지 관련 업무의 범위를 포괄하는 자격증이 없었기 때문에 수요는 충분하다고 봅니다.

또한 현재 이 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이 완료되면 이를 반영한 커리큘럼과 교과목을 각급 학교에 개설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그러면 학교에서도 동일한 기준으로 교육을 할 수 있고, 경력자의 경우 승진이나 이직을 준비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겁니다. 다만 앞으로 기업에서 잘 채택해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들도 마련되어야 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다행히 각종 화학사고 등을 경험하면서 사회적으로 안전에 대한 문제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이런 사회분위기에 따라 안전도 지키고 환경도 지키는 전문가가 육성되어 활발히 활동하기를 기대해 봅니다.

<출처=한국고용정보원 '미래를 함께할 새로운 직업'> 
 

   
 
저작권자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