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신·의약품, 안전배송 전문가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새로운 약이 발명됐다는 뉴스가 나올 때마다 흔히 볼 수 있는 화면이 있다. 실험실에서 흰 가운을 입은 사람들이 동물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장면이다. 새로운 약이 발명됐을 때 의료 분야에서는 전임상시험과 임상시험을 실시한다. 전임상시험은 동물에게 약물을 투여해 효능을 살펴보는 것을 의미한다.

흔히 약이 개발되면 동물에게 1차적으로 독성실험 등을 실시해서 사람에게 약물을 투여할 때의 투여량 등을 측정해본다. 그 뒤 임상시험 계획 승인이 나면, 사람을 대상으로 약물을 투여해보는 임상시험을 실시하게 된다.

임상시험은 의료 분야에서 약물 등의 안전성을 시험하기 위해 사람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자들은 이런 시험 등을 바탕으로 약물의 독성과 안전성을 점검하기 때문에 신약을 개발할 때 이 과정은 매우 중요하고 필수적이다.

이런 임상시험을 하려면 혈액 및 의약품 등 이른바 바이오물류를 정확한 온도와 시간에 맞춰 연구소나 병원으로 옮겨야 한다. 일반 물류와는 다르게 바이오물류는 배송을 할 때까지 일정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보관과 관리도 까다롭다. 바이오물류전문가는 이렇게 관리에 손이 많이 가는 바이오물류를 배송하고 처리하는 일을 한다.

1980년대 세계적으로 다국가 임상시험이 시작되면서 바이오물류가 태동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초반에야 바이오물류 개념이 생겼다. 다국가 임상시험이 활발해지면서 이 분야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충족해 배송을 하다 보니 특화된 배송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생긴 것이다. 이후 2002년 식품의약청에서 임상가이드라인(GCP)을 발표하면서 바이오물류 분야에 대한 중요성은 점점 강조되어 왔다.

바이오물류는 아직 물류업계에서도 생소한 분야다. 현재는 소수의 물류회사들이 바이오물품을 위한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준이다. 하지만 전문 임상시험이 늘고 중요성이 커지면서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손꼽히고 있다. 참고로 지난 2008년 한국의 수도인 서울은 임상시험이 가장 활발한 도시로 손꼽힌 바 있다. 우리나라에서 바이오물류전문가가 양성될 가능성이 높음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하는 일
바이오물류전문가가 하는 일은 고객을 직접 만나거나 또는 전화 등을 통해 배송에 대한 상담을 진행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바이오물류는 온도나 시간, 통관절차 등에 있어 주의해야 할 부분이 많으므로 상담 과정에서 제반 사항을 꼼꼼하게 살펴 물류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이후 본격적인 배송계획을 세우게 되는데, 포장, 출고, 통관을 거쳐 고객에게 물품이 도착하기까지 전 과정에 대한 밑그림을 그려야 한다.

특히 각국의 검역법 및 관련 법규에 따라서 통관절차가 까다로울 수 있으므로 사전에 이를 잘 파악해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고 인허가 사항을 철저히 확인해야 한다. 또한 물품의 특성에 적합한 최적의 포장재를 선별해 포장하고, 때론 픽업 현장이나 공항에 직접 나가서 전 과정을 살펴야 할 때도 있다.

이동경로를 꾸준히 모니터링 하면서 자연재해로 인한 항공기 결항, 통관 지연 등 배송 과정에 문제가 없는지 살피는 것도 이들의 몫이다. 이처럼 상담부터 고객에게 물류가 도착하는 순간까지 전 과정이 바이오물류전문가에 의해 체크리스트로 관리된다.

▶교육과 훈련
바이오물류전문가로 일하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생명공학 분야의 지식이 필요하다. 물류관련 지식은 회사에 들어온 이후 직무교육을 통해서도 충분히 습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그러나 영어 등 외국어능력을 비롯한 개인의 언어능력, 커뮤니케이션 기술은 기본적으로 갖춘 사람을 요구한다.

또한 바이오물류전문가의 역할이 바이오와 물류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만큼 생명공학 분야의 지식이 있으면 업무수행에 유리하다. 주로 상대하는 사람들이 의사나 간호사, 제약회사 연구원, 임상시험 관련 연구소에서 일하는 사람이라는 점에서도 생명공학 지식은 유용하다.

물류전문가는 안전하고 빠른 루트를 찾아 배송하는 것이 최종 목적이므로 물류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도 중요하다. 따라서 대학에서 물류를 전공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한 물류를 다루는 것은 결국 돌발상황에 얼마나 잘 대처하느냐는 문제로 귀결될 수 있다. 이 일을 하다보면 비행기 결항, 물품파손, 통관절차 등 다양한 문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문제해결능력과 순발력 등이 뛰어난 사람이 적합하다.

▶현황과 전망
바이오산업이 발전하면서 바이오물류가 특송 분야에서 한 영역을 차지하게 됐다. 이는 그만큼 생명공학기술이 전보다 많이 발전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바이오물류의 전방산업이 바이오산업이며, 바이오산업의 성장은 생명공학기술(BT; Bio Technology)의 발달에 따른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가 바이오산업을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지정해 육성하고 있는 만큼 바이오물류산업도 함께 동반 성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제약산업이 FTA의 영향 또는 약가 인하 등의 악재로 해당 산업이 주춤할 거라는 전망도 나오지만, 그렇다고 부정적으로 바라볼 필요는 없다.

오히려 이러한 위기를 기회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연구개발 및 임상시험에 몰두한다면 바이오물류 분야의 수요는 오히려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에듀진 기사 URL :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468
기사 이동 시 본 기사 URL을 반드시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학습에서 취업까지 한번에! '대한민국 진로진학 가이드북' 출간! [배너 클릭!] 
저작권자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