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시문 기반 면접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최상위권 대학과 더불어 일부 의과대학에서 실시하는 면접 방식이다.
제시된 주제에 대한 면접 대상자의 분석 능력, 추론 능력, 관점, 가치관 등을 평가한다. 주로 학업 능력과 전공적합성을 평가하는 문제로 구성되며, 교과 내용을 적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평가하는데 중점을 둔다.
면접 대기실에서 제시문과 그에 대한 문제를 주면 학생들은 10~30분간 제시문을 독해하고 문제에 대한 답변을 준비해야 한다. 그 후 준비한 답변을 면접실에서 말하는 식으로 이뤄진다.
각 대학은 입학처 홈페이지에 선행학습 영향평가 결과보고서와 기출문제를 공개하고 있으며, 출제 의도와 채점 기준 및 모범 답안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내용을 기반으로 기출문제를 풀어보며 출제 의도와 핵심 요지를 파악하고, 답변내용을 정리해서 직접 글로 써 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제시문 기반 면접은 제시문을 이해하고 주제를 정확하게 파악한 후에 질문에 대해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제시문을 읽고 답변을 준비하는데 주어지는 시간이 길지 않으므로 제시문을 읽으면서 중요한 키워드와 자신의 생각을 메모하는 것이 좋다. 질문에 대해 답변할 때는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핵심 요지를 앞머리에 먼저 말하는 것이 좋다.
제시문 기반 면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인문·사회 계열 지원자는 평소 꾸준한 독서활동으로 제시문에 대한 이해력과 논제에 대한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고 자연계열 지원자는 수학, 과학 과목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수이다.
이와 함께 매년 발표되는 대학별 ‘선행학습영향평가보고서’를 참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 보고서에는 대학별고사에 대한 출제 근거와 평가 기준이 명확히 제시되어 있어, 대학별 면접의 특성을 알 수 있는 매우 좋은 자료이다. 또한 지원할 대학이 발표한 면접 사례 혹은 동영상을 참고한다면 준비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전에는 모집단위별로 문항이 다른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계열별, 단과대별로 공통 문항을 활용해 평가하는 대학이 많다.
다음의 제시문 기반 면접에 대비하는 효과적인 방법과 면접 사례를 살펴보고 면접전형에 지원해보자.
제시문 기반 면접
① 인문계열 - 전공 및 최근 시사 이슈를 교과 개념과 연결해 정리하자.
주로 전공과 관련한 교과 지식의 이해도와 해당 전공을 수학하는 데 필요한 자질을 평가하므로, 면접 전에 해당 전공과 연관된 교과서 내용을 익혀두는 것이 좋다. 특히 경영·경제학, 법학, 사회학 등에서는 시사적인 내용을 묻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사회적 이슈에 대한 본인의 생각이나 의견을 말할 때는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을 근거로 활용하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질문에 답변할 때는 두괄식으로 결론부터 간략하게 제시한 후에 이유나 근거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사전 연습을 할 때는 논술시험을 본다는 생각으로 답변내용을 종이에 간단히 작성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② 자연계열 - 수학, 과학 주요 개념 숙지 후 통합적 문제해결 훈련이 필요하다.
자연계열 제시문 기반 면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수학, 과학과 관련한 기본 개념과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과학은 자료를 해석하거나 실험결과를 해석하는 문제가 출제되고 있으며, 실험과정의 오류를 지적하거나 추론하고 주어진 자료 내에서 논리적으로 자료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교과 과정을 충실히 이해한 학생이라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이 제시되므로 대학 전공별 기출문제를 통해 자주 출제되는 테마를 철저히 분석하고 정리해 둘 필요가 있다. 수리논술은 구체적인 채점 기준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기출문제 분석을 살펴보고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
*[출처=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쎈(sen)진학 2024 수시 진학지도 길잡이(총론)']
*에듀진 기사 URL :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598
기사 이동 시 본 기사 URL을 반드시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학종 대비법 완벽해설 '명문대 합격생 학생부 대공개 3' 자세히 보기 [배너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