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낮은 효율성에 비싼 학원비가 문제
- 시간관리의 문제가 가장 큰 도전...하루 종일 SAT학원에서 보내면 바보
아직도 SAT공부를 하러 SAT학원에 가는 학생들이 많다. 가장의 한 달 수입에 해당되는 월 수백만 원씩 내고 SAT 공부는 SAT학원에서 해야 한다는 '어리석은' 생각을 하는 학생과 부모들이 많다. 또한 SAT 준비는 여름 방학에 SAT학원에 가는 것으로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바보'같은 이들도 많다.
SAT의 변천사를 보자. SAT가 2016년 Critical Reading(비판적 독해)에서 2017년 Evidence Based Reading(증거에 의한 답 찾기)으로 바뀌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더이상 SAT학원을 가야 할 필요가 없어졌다. 왜 문제가 너무 쉬워졌다. 비판적 독해 문제 때는 SAT학원에 가지 않으면 안 됐다. 평생 한 번 밖에 안 쓰는 어려운 단어와 킬러 문제들이 수두룩했다. 그러나 증거에 의한 답 찾기로 바뀌면서 고등학교 과정을 제대로 이수한 학생이라면 고득점을 받을 수 있도록 쉬워졌다.
미래교육연구소장 이강렬 박사
webmaster@eduji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