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 리허설 많이 해보기
- 면접 대기시간 효율적으로 활용

[사진 = 서울시립대]
[사진 = 서울시립대]

학생들의 합격 수기를 보면 감동적일 때가 많다. 그만큼 학생들이 열심히 최선을 다해 준비한 감동이 전해지기 때문이다.

다음 서울시립대 학생부 가이드북에 실려있는 합격생의 합격수기를 보고 면접 준비를 어떻게 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 면접은 어떻게 준비했는가? 면접을 잘 보기 위한 본인만의 면접방법은?

[조경학과]

면접 준비의 첫 번째로 약 3년간의 학교생활기록부를 분석하여 가치관을 정립한 후 나만의 스토리보드를 정리했다. 이후에자기 자신, 학교 활동, 학업 활동, 학업 계획 등 면접으로 나올 법한 주제를 정해 스스로 면접 질문을 만들어 보고 답변을 준비했다.

그 과정에서 조경학과 면접 후기를 참고하여 기출 질문들을 정리하고 준비하며 서울시립대학교의 인재상, 그 중에서도조경학과의 인재상에 적합하게 답변하려고 노력했다. 더 나아가서 융합 역량을 보여주기 위해 어떤 역량을 더 키울 수 있었고 진로에 어떻게 도움이 되었는지, 어떤 분야에 적용할 수 있었다는 것을 엮어서 훨씬 구체적인 답변이 되도록 연습했다.

두 번째로는 꼬리 질문에 대비했다. 그 중에서도 세부능력특기사항이나 독서를 중점으로 준비했는데, 현재 이슈 소재, 토론 주제로 본인의 생각을 정리하고 개념을 묻는 질문에서는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평소에 조경과 관련된 유튜브 영상이나 시사, 이슈를 통해 조경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관점을 접해 지식이 풍부해졌으며, 이와 관련된 사고방식이 자연스럽게 정립되도록 했습했다.

세 번째는 실제 리허설을 많이 해보는 것이었다. 키워드 중심으로만 암기한 후 질문에 대해 생각하고 답변하도록 연습했다.


◈ 면접은 어떻게 준비했는가? 면접을 잘 보기 위한 본인만의 면접방법은?

[철학과]

나의 학교생활기록부를 파악한 뒤 예상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변을 적어보면서 면접을 준비했다. 예상 질문은 크게 2가지로 나누었다.

첫 번째는 자기소개, 학교와 학과에 대한 지원동기, 마무리 인사와 같은 자신 또는 내가 지원한 전공 자체에 대한 공통적인 질문이다.

그리고 두 번째는 전공과 관련하여 심화 탐구한 내용 위주로 선정한 질문이다. 예상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작성할 때는 답변을 통째로 외우기보다는 중요한 키워드 위주로 정리했다. 준비한 예상 질문 외에 다른 질문을 받았을 때 키워드 위주의 답변 작성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면접 대기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첫 면접의 대기 시간을 대비하지 못했던 경험이 있다. 질문 리스트를 전부 노트북으로 준비했었는데 대기실에서는 모든 전자기기를 꺼야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방에 있던 빈종이를 꺼내 마인드맵의 형식으로 저의 활동들을 하나씩 적어보았다.

이후에 진행한 면접 대기 시간에도 미리 작성했던 질문 리스트를 읽는 것보다 제 머릿속에 있는 것들을 차근차근 정리해보는 것이 오히려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 에듀진 기사 URL: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639
기사 이동 시 본 기사 URL 및 아래 배너를 반드시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 대입,입시,공부법,동아리활동,학생부관리 알려주는 '나침반36.5' 매거진 정기구독
저작권자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