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사진 = 클립아트코리아]

세계 자동차산업은 2026년부터 'SW 기반 전기동력 커넥티드 카'가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자동차 수요는 꾸준히 증가해서 2027년에는 1억대를 넘어서고, 커넥티드 카 보급은 2023년의 1억9200만대에서 3억6700만대로의 증가가 전망된다.

전기동력차가 신차 수요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증하면서 내연기관차 비중은 계속해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들이 외면하고 있는데다 각국 정부가 환경 규제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 내연기관차 수요는 일시적으로 8000만대를 넘어서겠지만 2017년의 사상 최대치인 9600만대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면서 2030년대 전반에 7000만대 아래로 떨어질 공산이 크다. 유럽자동차협회(ACEA)는 2030년 경자동차(밴을 제외한 승용차와 픽업트럭 및 경트럭) 판매에서 차지하는 전기동력차 비중이 유럽 70.7%, 중국 58.5%, 미국 44.8%로 전망했다.

이처럼 자동차산업에서의 경쟁 구도가 바뀌고 있다. 미래 모빌리티 창업기업 일부가 두각을 내보이고 있는 가운데 ICT기업도 미래 모빌리티사업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26년부터 자동차산업에서의 대경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공학과 관련 자격증, 진출 직업 및 필요능력은 다음과 같다. 

■ 학과관련자격증
자동차공학기술자, 카레이서, 메카트로닉공학기술자, 기계공학기술자·연구원, 무인자동차엔지니어, 자동차디자이너, 전기자동차연구원

■ 진출 직업
자동차공학기술자, 카레이서, 메카트로닉공학기술자, 기계공학기술자·연구원, 무인자동차엔지니어, 자동차디자이너, 전기자동차연구원

■ 필요능력

구분 필요사항
지식 주요제원 표기접, 자동차관리법, 화물적재공간 측정방법, 실내 내장재 종류, 자동차 성능, 동력전달장치, 자동차 속도, 기어비 계산, 기계 기구학적 기초지식, 전기전자, 주행성능, 자동차 재료, 안전도 평가에 대한 지식 등 각종 자동차 지식, 경쟁차종의 소비자선호도, 시장점유율, 시장동향
능력 엔진작동원리와 기술능력, 차량주요부품의 성능 결정능력, 관련법규 적용능력, 실내공간 설정 능력, CAD프로그램 사용능력, 의장부품 고정방법 구상능력, 엔진성능 특성 해석능력, 계산능력, 특성파악 및 선정능력, 시험기기의 보정기술, 시험결과의 판독 및 해석기술, 판매조건 및 성능분석을 조사 분석하는 능력, 컴퓨터활용능력
태도 담당자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제품기획서 준수의지, 설계기준 준수, 새로운 기술을 추구하려는 태도, 패키지 설계내용을 분석하여 반영하는 태도, 문제 분석 능력, 기존의 품질 문제를 반영할 수 있는 노력, 종류별 특성 파악, 동력전달계 수명 분석법, 안전사항 준수, 표준화작업을 정확히 수행하려는 자세


특히 태도 면에서 시험절차서를 지키려는 태도,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려는 태도, 반복실험을 할 수 있는 인내심 있는 태도, 정보습득에 능동적으로 임하는 자세,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려는 태도 등이 필요하다. 자신의 학생부에도 위와 같은 태도를 기록으로 잘 남길 수 있도록 노력하자.

*[공학계열 진로진학 가이드북 발췌]
 

* 에듀진 기사 URL: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004
기사 이동 시 본 기사 URL 및 아래 배너를 반드시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2015ㆍ2022 학생부 기록의 완결판! '공학계열 진로진학 가이드북'! [배너 클릭!]
저작권자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