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여고, 송곡여고 시국선언
- 서울특별시 고교생 일동, 경기·충북지역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으로 일구어진 민주주의를 누리고 있는 대한민국의 고등학생이기에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것을 더 잘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역사의 반복을 방관하면 안 된다고 배웠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움직입니다.”(인천여고 116대 회장단 시국선언문)
‘12·3 내란사태’ 이후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시국선언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중·고등학생들도 개인이나 단체, 학생회 차원에서 시국선언에 동참하고 있다. 학생 개인이 제안한 시국선언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서명을 받는 방식으로 지역별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서울, 경기, 충북 등 전국으로 확산되는 모습이다. 학생회 차원에서는 인천여고, 송곡여고 등이 시국선언을 내놨다.
온라인 서명을 받아 오는 13일 기자회견을 열 예정인 ‘시국선언에 참여한 서울특별시 고등학생 일동’은 시국선언문에 “우리 청소년들은 미래의 대한민국을 이끌어가는 중대한 책무를 진 주체로서 당당히 우리의 목소리를 낸다”며 “대한민국의 국가 체계 전복을 획책하고 내란을 모의한 윤석열은 그 책임을 지고 즉시 하야하라”고 적었다. 학생 5명이 시작한 이 시국선언은 9일 오후 1시 기준 4855명이 서명했다.
서울 학생들은 시국선언문에 윤 대통령의 교육정책에 대한 비판도 담았다. 이들은 “대선 공약에도 없던 의대 정원 확대, 수능 출제 방식 변경, 친일 역사 교과서 도입 등 정치적 논쟁에 휩쓸려 수많은 학생이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미래를 걱정하게 됐다”며 “우리 학생들과 국가의 미래를 결정하는 교육정책을 즉흥적으로 남발하는 정부를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다”고 했다.
경기·충북지역 학생들도 “(윤 대통령은) 민주주의를 지켜내기 위해 투쟁한 사람들의 피와 역사를 잊었으며, 그의 측근들 또한 역사를 잊은 것과 다름없다”, “반국가세력은 우리 헌법을 보란 듯이 유린하며 절차도 목적도 없는 위헌적인 계엄 선포로 국민들을 우롱했다”고 각각 밝혔다.
고등학교 학생회 차원에서도 시국선언 발표가 잇따랐다. 인천여고 116대 학생회는 시국선언문에서 “민주주의를 지키고 국민의 인권을 보장하는 것이야말로 행정부 수장인 대통령의 최우선적 의무라고 배웠다”며 “이런 의무를 다하지 않는 대통령, 권력과 무력으로 언론과 국회를 막는 대통령은 거부한다”고 했다. 송곡여고 제51대·52대 총학생회도 “대한민국 민주시민으로서, 학교 자치를 이끌던 송곡여고 총학생회의 일원으로서 이러한 세태를 두고만 볼 수 없다. 윤석열 대통령은 퇴진함으로써 마지막 책임을 다하라”고 했다.
청소년 인권행동 아수나로와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이 주도한 ‘민주주의와 인권의 후퇴를 막는 청소년 시국선언’은 당초 1000명의 서명을 받는 걸 목표로 했지만 5일여 만에 4만8800명(9일 새벽 2시 기준)이 모였다.
이들은 시국선언문에서 “윤석열은 그동안에도 여러 차례 인권과 자유를 억압하려는 모습을 보였고, 청소년들에게도 마찬가지였다”며 “퇴진 집회를 이유로 청소년단체가 표적 수사를 당했고, 고등학생이 그린 ‘윤석열차’ 풍자만화는 경고를 받았다.
대통령과 교육부 장관이 직접 학생들의 두발 자유, 표현의 자유 등의 내용을 담은 학생인권조례를 폐지하라고 주문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제 비상계엄 사태로 윤석열에게 민주공화국의 대통령 자격이 없음이 분명해졌다. 민주주의를 후퇴시키고, 우리의 자유와 인권을 위협하는 윤석열 대통령은 즉각 물러나라”고 덧붙였다.
[발췌=한겨레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