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역별 변경 사항·바뀐 내신 평가 방식 등 담아
광주시교육청은 11일 올해 고등학교 1학년부터 적용되는 대입 개편안 주요 내용을 담은 '2028 달라진 대입제도의 이해'를 모든 고등학교에 보급한다고 밝혔다.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대학입시를 대비할 수 있도록 시교육청 진로진학과 진학팀에서 제작해 고1 학생, 학부모, 교사에게 제공한다. 시교육청은 자료를 활용해 학생 진로지도와 학습 상담을 강화하고, 진로진학과 소속 대입 지원관은 학교를 찾아 특강도 열 예정이다.
2028 대입 개편안은 올해 시행되는 고교학점제에 맞춰 학생이 진로와 적성에 맞는 진학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수능과 내신 평가 방식이 크게 바뀐다. 통합형·융합형 수능 과목 체계가 도입되며, 과목 선택에서 유불리를 해소하기 위해 기존 선택과목이 폐지된다.
국어영역은 '공통(화법과 언어·독서와 작문·문학)과목'으로, 수학 영역도 '공통(대수·미적분Ⅰ·확률과 통계)과목'으로 변경된다. 탐구영역은 사회 공통과목(고1 통합사회)과 과학 공통과목(고1 통합과학)을 모두 응시하도록 바뀐다.
고교 내신 평가도 기존 9등급제 상대평가가 폐지되고, 5등급제가 도입된다. 모든 과목에서 절대평가를 시행하면서 상대평가 등급(1∼5)을 함께 기재하는 방식이다. 융합 선택과목 중 사회·과학 교과는 상대평가 석차 등급을 기재하지 않고, 절대평가로 시행한다.
시교육청은 수능에서 상대평가 변별력과 등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어와 수학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수능 사회·과학탐구는 고1에서 배우는 통합사회·통합과학에서 출제하므로 지식의 포괄적 적용과 문항에 대한 정확한 문해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수시 학생부 중심 전형에서는 내신 5등급제를 보완하기 위해 수능최저학력기준 상향, 정성평가 방식인 교과 평가 도입, 제시문 기반 심층 면접 도입 가능성을 점쳤다.
정시 수능 위주 전형에서는 수능 성적 보완을 위해 정성평가 방식인 교과 평가를 도입할 수 있어 고1 학생들은 내신성적·학교생활기록부·수능성적을 균형 있게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정선 교육감은 "올해 고1이 된 학생들이 체계적으로 대학입시를 준비할 수 있도록 입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오는 26일 17개 시도교육청 주관으로 시행되는 고1 전국연합 학력평가는 현행대로 출제되며, 오는 6월 3일부터는 2028 대입 개편안 수능 체제로 출제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