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난이도 문항 골고루 출제…만점자는 작년 수능보다 밑돌 듯"
4일 시행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6월 모의평가 수학 영역은 작년 수능과 비슷한 수준으로 출제된 것으로 평가됐다.
EBS 수학 대표 강사인 심주석 인천하늘고 교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6월 모의평가 수학 영역 출제경향 브리핑에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근거해 다양한 난이도의 문항이 골고루 출제됐다"며 "난이도는 작년 수능과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작년 수능에서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은 140점으로 전년(148점)보다 8점 떨어지며 다소 쉬웠다는 평가를 받았다. 작년 수능의 수학 만점자는 전년 612명의 2.5배인 1천522명이었다.
작년 9월 모의평가 때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은 136점으로, 2022학년도 통합수능 도입 이후 가장 낮았다. 만점인 136점 득점자(135명)와 미적분 최고점인 135점 동점자를 합하면 총 4천736명에 달했다.
심 교사는 "작년 9월 모의평가 당시 만점자가 많이 나왔는데 그만큼은 나오진 않을 것"이라며 "작년 수능 만점자 1천522명보다 조금 밑도는 수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중상위권 학생들이 수월하게 접근할 수 있는 문항들이 출제됐다"면서 "다만 일부 문항은 다소 까다롭게 느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특히 수학은 최상위권 변별력에 힘을 주면 중위권 변별이 무너지게 된다"며 "이번 6월 모의평가는 중위권과 상위권, 최상위권을 두루 평가할 수 있는 문항 개발에 정성을 많이 들인 것 같다"고 평가했다.
교육부는 6월 모의평가 출제방향 보도자료에서 "복잡한 계산을 지양하고, 반복 훈련으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요소나 공식을 단순하게 적용해 해결할 수 있는 문항보다는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기본개념에 대한 충실한 이해와 종합적인 사고력을 필요로 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EBS는 최상위권 변별 문항으로 공통과목 22번(수학Ⅰ)과 15번(수학Ⅱ), 30번(확률과 통계), 30번(미적분) 등을 꼽았다.
심 교사는 "이 문항들은 단순히 요령으로 맞추기보다는 정확히 개념 단계를 밟아야 풀 수 있는 문제들"이라며 "충분한 사고를 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험생들이 까다로워하는 합답형이나 완성형 문항도 비교적 쉬웠던 것으로 분석됐다.
EBS 연계율은 50%로, 공통과목인 수학Ⅰ과 수학Ⅱ에서 각각 6문항이 연계됐다. 선택과목인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에서는 3문항씩 연계 출제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