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공변경 계획' 응답자 44%는 "다른 대학 가려고 재수 계획"
지난해 서울 소재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한 학생 중 절반 이상은 전공을 바꿀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이들 중 44%는 다른 대학에 가기 위해 재수를 고려하는 등 상당수 학생이 현 대학 재학 상황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10일 서울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서교연)의 '서울학생종단연구 2020 진로·진학조사 결과분석 및 진로정책 효과 검정'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서울 소재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한 1천413명 중 52.4%는 '전공 변경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 가운데 43.9%(복수응답)는 '타 대학 진학을 위해 재수를 계획한다'고 답했다.
현재 대학에서 복수·부전공을 계획하는 경우는 40.9%, 타 대학 편입을 계획하는 경우는 32.6%로 각각 집계됐다.
총 722명의 졸업생을 대상으로 대학 선택 시 고려하는 1순위 요인을 물은 결과 '대학의 명성'(51.8%)이 가장 높았다. 이어 '적성 및 흥미'(28.8%), '취업'(8.3%), '성적 및 가산점'(6.8%) 순이었다. 대학 전공을 선택할 때 부모의 의견을 주로 참고한다는 비율은 17%에 달했다.
전공 선택시 가장 큰 영향을 준 1순위 사람을 묻는 말에 71.1%는 본인이라고 답했다. 부모님 및 보호자(17.1%), 교사(5.2%), 학원 또는 과외교사(3.6%)가 뒤를 이었다.
대학 입시를 준비하기 위해 지출하는 월평균 비용은 50만원 미만이 24.2%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100만원(18.6%), 250만원 이상(15.8%), 100∼150만원(12.7%), 200∼250만원(8.6%), 150∼200만원(7.9%) 순으로, 100만원 이상은 총 45%에 달했다. 전혀 지출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1.5%였다.
서교연은 "조사에 따르면 학생들은 고등학교 재학시절 자기 적성을 충분히 탐색하지 못하고 대학에 입학한 경우가 많았다"며 "효과적인 진로교육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예산과 인력을 투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