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력과 아이디어가 세계를 움직이는 창조와 혁신 시대 진입해
박근혜 대통령은 13일 "수학을 통해서 배우는 창의성과 논리적, 합리적 사고야말로 미래를 이끌어갈 인재들이 반드시 갖춰야 할 요소"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개막식 축사에서 "지금 세계는 한사람의 뛰어난 창의력과 아이디어가 세계를 움직이는 창조와 혁신의 시대에 진입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수학은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학문이자 전 인류가 공유하는 위대한 유산"이라며 "인류는 문자가 없었던 고대부터 셈과 측량을 시작했고, 수학은 지역과 민족을 뛰어넘어 인간의 논리적인 인식 체계의 바탕이 되는 가장 보편적인 언어로 인류의 삶을 바꿔놓았다"고 강조했다.
또 "현대에서도 수학은 첨단 과학기술의 발전과 우리 삶의 변화를 이끄는 중요한 근간이 되고 있다"면서 "수학이 없었다면 정보통신혁명의 주춧돌을 이루는 디지털 이론도 없었을 것이며 우리가 즐기는 영화와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컴퓨터 그래픽도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금융투자나 빅데이터 분석에 수리모델을 활용하는 것은 새로운 서비스와 시장을 창출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며 "이처럼 수학은 새로운 방식과 원리를 찾아 문제를 해결하면서 과학기술, 산업, 문화예술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여 더 큰 부가가치를 창출해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류의 미래발전도 수학과 직결돼 있다"며 "그런 점에서 저는 수학이 수학자들만의 학문이 아니라 미래를 이끌어갈 젊은이들과 일반 대중들이 친근하게 접하고 이해할 수 있는 학문으로 발전해가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한국은 짧은 기간에 압축적인 경제성장을 이뤄냈고, 수학분야에서도 출발은 늦었지만 매우 빠른 성장을 해 왔다"며 "한국이 짧은 시간에 수학 발전에 공헌하는 나라가 되기까지 세계 수학의 무대로 초대하고 손을 내밀어 준 세계 수학계와 수학자 여러분께 고마운 마음을 갖고 있다"고 사의를 표했다.
한편 국제수학연맹(IMU)이 주최하는 세계수학자대회는 세계 최대 규모의 기초과학분야 학술행사로 1897년부터 4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27번째 대회인 올해 대회는 한국 수학의 급격한 발전에 힘입어 캐나다, 브라질 등과의 치열한 경쟁을 뚫고 서울 유치에 성공했다.
박 대통령은 대회 전통에 따라 필즈상, 네반리나상(수리정보과학분야), 가우스상(응용수학분야), 천상(기하학분야)도 직접 시상했다.
이 가운데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필즈상은 수학 난제를 해결하는 등 뛰어난 업적을 낸 40세 미만의 수학자에게 수여하는 것이다. 올해는 마리암 미르자카니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수상하며 최초로 여성수학자가 선정됐다.
이날 개막식에는 국제수학연맹(IMU) 잉그리드 도브쉬(Ingrid Daubechies) 회장을 비롯한 국내외 수학자 및 학계, 연구계, 산업계, 언론계 등 120여개국 인사 4000여명이 참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