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격을 부르는 면접 실전 대비법!

   
▲ 건국대학교 <사진 제공=건국대>

주요 대학 학생부교과전형의 1단계 합격자가 발표되면서, 수능과 면접을 동시해 준비해야 하는 분주한 시기가 다가왔다.

면접 전형은 수능 전에 실시하는 전형과 수능 후에 실시하는 전형으로 구분된다. 또한 수능 최저기준 적용 여부에 따라 면접과 수능 준비 대책이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촉박한 일정 속에서 어느 것 하나도 놓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에듀진>은 주요 대학별 면접일정 및 면접 준비 대책을 공개한다.

수능 전에 면접을 실시하는 대학 및 전형은 연세대, 고려대 특기자전형과 고려대 학교장추천전형 등이 있다. 수능 후에 실시하는 대학 및 전형은 서울대 수시 전형의 모든 면접과 연세대 학교활동우수자전형, 고려대 융합형인재전형, 경희대 네오르네상스전형, 중앙대 다빈치형인재전형 등이 있다.

고려대 학교장추천전형 면접은 수능 후에 실시했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수능 전인 10월 22일(토) 인문계열, 10월 23일(일) 자연계열을 실시한다. 특기자전형은 과학인재전형이 10월 29일(토), 국제인재전형은 10월 30일(일) 면접고사를 실시한다. 학생부종합전형, 특기자 전형 모두 제시문을 활용하는 심층면접 방식으로 실시한다.

연세대 특기자전형 면접일은 인문학인재, 사회과학인재는 10월 22일(토), 국제계열은 10월 29일(토), 과학공학인재는 11월 5일(토), IT명품인재는 11월 5일(토)부터 11월 6일(일) 등에 실시한다. 특기자전형 면접은 제시문을 활용하는 심층면접으로 진행한다.

한양대 특기자전형 글로벌인재(어학특기자)는 1단계 외국어 에세이를 10월 8일(토), 2단계 외국어 면접을 10월 23일(일)에 실시한다. 외국어 에세이 및 면접은 모집단위별로 해당 외국어로 실시하는 데, 영어영문학과, 영어교육과, 국제학부는 영어, 중어중문학과는 중국어, 독어독문학과는 독일어로 진행된다.

건국대는 KU자기추천전형 면접이 자연 10월 29일(토), 인문 10월 30일(일)에 실시된다. 면접은 개별면접으로 제출서류를 기초해 활동의 진위여부 확인, 전공 수학역량, KU핵심역량(인성) 등을 정성적으로 종합평가한다.

국민대는 국민프런티어전형 면접이 10월 22일(토) 자연계열, 10월 23(일) 인문계열에서 실시된다. 출제 지문 없이 제출 서류에 기반한 확인 면접이며 인성면접이다. 교과성적우수자전형 면접 및 농어촌전형, 기회균형 면접 등은 수능 후에 실시하고, 인성 면접 및 확인 면접으로 진행된다.

상명대는 선택교과면접전형의 면접을 10월 15일(토) 실시하고, 상명인재전형의 면접은 10월 29일(토)부터 10월 30일(일)에 모집단위별로 지정된 날짜에서 실시한다. 면접 방식은 서류기반의 개별 면접으로 선택교과면접전형은 인성, 전공적합성, 발전가능성 등을 평가하고, 상명인재전형은 학생부, 자기소개서를 바탕으로 학생부종합전형의 취지에 맞춰 정성평가 방식으로 실시한다.

서강대 특기자전형 면접은 10월 16일(일)에 실시하고, 학생부, 자기소개서, 추천서 등 등 제출 서류를 바탕으로 개인별 면접 문제가 주어지는 일반면접이다. 외국어특기자는 제출서류를 기본으로 전공적성, 학업역량, 언어구사능력(지원전공 해당 언어 등) 등을 종합평가하고, 수학과학특기자는 제출서류를 바탕으로 전공적성, 수리능력, 학업능력 등을 종합평가하며, A&T는 제출서류를 바탕으로 창의성, 문제해결능력, 다면적 사고력, 학업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을 종합평가한다.

숙명여대 숙명미래리더전형은 11월 5일(토), 숙명과학리더전형과 숙명글로벌인재전형은 11월 6일(일)에 실시한다. 숙명미래리더 및 숙명과학리더는 개별면접으로, 학생부 비교과와 자기소개서를 바탕으로 진행한다. 제출서류 내용에 대해 확인하고 종합적 사고력, 전공적합성, 의사소통능력 및 인성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숙명글로벌인재는 모집단위별로 지정된 외국어로 진행하는 외국어면접으로, 제출서류에 대해 확인하고, 전공적합성, 종합적사고력, 의사소통능력 및 인성 등에 대해 종합평가하는 심층면접으로 이루어진다.

숭실대는 SSU미래인재전형의 면접이 10월 22일(토)에 진행한다. 인성면접으로, 제출서류를 기반으로 10분 내외로 진행하며 전공적합성, 인성, 잠재력 등을 평가한다.

이화여대는 고교추천전형 면접을 자연계열 10월 22일(토), 인문계열 10월 23일(일)에 실시하고, 수학과학특기자전형 면접은 10월 22일(토), 어학특기자 및 국제학특기자전형 면접은 10월 23일(일), 미래인재전형 면접은 인문계열이 10월 29일(토), 자연계열은 10월 30일(일)에 실시한다.

고교추천전형과 미래인재전형 면접은 각각 계열별로 공통 질문이 제공되는데, 자연계열은 선택 비율이 높은 생명과학, 화학 등 과학 과목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 답하는 방식이다. 면접 평가는 공통 질문 이외에 인성 질문 및 서류 기반 질문을 모두 포함해 평가한다.

국제학특기자는 영어면접을 통해 학업능력, 영어능력 및 성장잠재력 등을 심층평가하고, 어학특기자는 제시문 기반으로 면접을 실시해 학업능력, 외국어(영어 또는 제2외국어) 능력 및 성장잠재력 등을 평가한다. 수학과학특기자 전형 면접은 모집단위별로 수학 또는 과학 문항 등을 제시해 학업능력, 수학 또는 과학 능력 및 성장잠재력 등을 평가한다.

한국외대는 특기자전형 면접을 10월 29일(토), 학생부종합전형 면접은 서울 전모집단위에서 11월 5일(토), 글로벌 전모집단위에서 11월 6일(일)에 실시한다. 학생부종합전형 면접은 문항 및 제시문이 나오고, 면접 소요 시간은 3분 정도이다. 특기자전형 면접은 문항 및 제시문이 나오고, 한국어와 외국어가 모두 활용되는 면접이 10분 이내로 진행한다.

 

2017 수시 주요 대학별 '수능 전 학생부종합전형' 면접 실시 모집인원과 전형방법

대학 전형명  모집
인원
전형방법 수능
최저
면접일 면접방법
건국대 KU
자기추천
전형
640 1단계(3배수): 서류평가 100
2단계: 면접평가 100
없음 10.29(토) 자연, 10.30(일) 인문 제출서류
기반 면접
국민대 국민
프런티어
552 1단계(3배수): 서류 100
2단계: 1단계 60 + 면접 40
10.22(토) 자연, 10.23(일) 인문
상명대 상명인재
전형
292 1단계(3배수): 서류 100
2단계: 1단계 50 + 면접 50
10.29(토)∼30(일)
숙명여대 숙명미래
리더전형
227 1단계(3배수): 서류 100
2단계: 서류 40 + 면접 60
11.5(토)
숙명미래
리더,
11.6(일)
숙명과학
리더
숙명과학
리더전형
164
숭실대 SSU미래
인재전형
503 1단계(3배수): 서류 100
2단계: 서류 60 + 면접 40
10.22(토) 
이화여대 미래인재
전형
620 1단계(3.5배수): 서류 100
2단계: 서류 80 + 면접 20
적용 10.29(토) 인문, 10.30(일) 자연 서류,
제시문 기반
면접
한국외대 학생부종합
전형
698 1단계(3배수): 서류100
2단계: 서류 70 + 면접 30
없음 11.5(토)∼6(일)



2017 수시 주요 대학별 '수능 전 학생부교과전형' 면접 실시 모집인원과 전형 방법

대학 전형명 모집 인원 전형 방법 수능 최저 면접일 면접 방법
고려대 학교장추천
전형
635 1단계(3배수): 교과 90 + 서류 10
2단계: 1단계 70 + 면접 30
적용 10.22(토) 인문, 10.23(일) 자연 제시문
기반 면접
상명대 선택교과
면접전형
193 1단계(5배수): 학생부 교과 100
2단계: 1단계 50 + 면접 50
10.15(토) 제출서류
기반 면접
이화여대 고교추천
전형
450 1단계(3배수): 학생부 80 + 서류 20
2단계: 1단계 80 + 면접 20
없음 10.22(토) 자연, 10.23(일) 인문 서류,제시문
기반 면접



■ 2017 수시 주요 대학별 '수능 전 특기자전형' 면접 실시 모집인원과 전형방법

대학 전형명 모집 인원 전형 요소별 반영비율(%) 수능
최저
면접일 면접 방법
고려대 과학인재 263 1단계(3배수): 서류 100
2단계: 1단계 70 + 면접 30
없음 10.29(토) 과학인재, 10.30(일) 국제인재 제시문 기반 면접
국제인재 290
서강대 특기자
(외국어)
53 1단계(2∼5배수): 서류 100
2단계: 1단계 80 + 면접 20
없음 10.16(일) 제출서류 기반 면접
특기자
(수학과학)
65
특기자
(A&T)
25
숙명여대 숙명글로벌
인재
57 1단계(3배수): 서류 70 + 공인외국어성적 30
2단계: 1단계 40 + 외국어면접 30
없음 11.6(일) 외국어 진행 개별 면접
연세대 인문학인재 71 1단계(일정배수): 서류 100
2단계: 1단계 70 + 면접 30
없음 10.22(토) 인문학인재, 사회과학인재, 10.29(토) 국제계열, 11.5(토) 과학공학, 11.5∼6 IT인재 제시문 기반 면접
사회과학
인재
124
과학공학
인재
245
국제계열 437
IT명품인재 20
이화여대 어학특기자 60 1단계(3.5배수): 서류 100
2단계: 1단계 70 + 면접 30
없음 10.22(토) 수학과학, 10.23(일) 어학, 국제학 제시문 기반 면접
수학과학
특기자
57
국제학
특기자
52
한국외대 특기자 133 1단계(3배수): 서류100
2단계: 서류 70 + 면접 30
없음 10.29(토) 제시문 기반 면접
한양대 글로벌인재
(어학)
97 1단계(3배수): 외국어에세이 100
2단계: 외국어면접 100
없음 10.23(일) 외국어면접 해당 외국어 면접


한편, 수능최저기준 적용여부와 관계 없이 면접준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모의면접'에 여러 번 참여하고, 자신이 제출한 서류를 확실하게 숙지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제출서류 기반, 제시문 기반, 인성평가 등 면접유형에 따라 대책을 세워야 한다.

먼저 제출서류 기반의 면접은 지원자가 제출한 학교생활기록부와 자기소개서 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면접위원이 지원자의 서류 내용 중 확인이 필요한 사항을 질문하고 지원자가 이에 대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면접을 통해서 제출서류를 토대로 서류내용과 기본적인 학업소양 등을 확인한다.

서류 기반 면접에서는 학생들이 고등학교 생활 동안 경험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면접이 진행되므로 ,학교생활기록부나 자기소개서에 담겨있는 본인의 경험을 되돌아보고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 되짚어 생각해 보는 것이 가장 좋은 면접 대비 방법이다.

또한 10분 내외로 면접위원 앞에서 본인의 생각을 이야기해야 하므로, 평소 학교에서 토론이나 발표 시간에 자신의 생각을 조리 있게 이야기하는 경험이 큰 도움이 된다. 또는 부모님이나 선생님 앞에서 본인의 경험을 이야기해 보는 연습이 면접 당일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제시문을 활용한 면접에서는 인문, 사회계열은 평소 꾸준한 독서활동을 바탕으로 제시문을 이해하고 논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고, 자연계열은 수학, 과학 등의 과목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우선돼야 한다.

전형에서 면접이 합격의 당락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이 가장 높고 수시 특기자전형이 그 다음이며, 학생부교과전형은 교과 성적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면접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무엇보다도 면접을 잘 보려면 지원 대학 및 모집단위(계열)의 출제 경향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시험 성격상 각 대학별 전형유형에 따라 면접유형 및 평가방법이 다르므로 이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하고, 특히 해당 학과에 지원한 동기와 자신의 활동 내용을 연관해 학업의 열정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으로 종로학원 하늘교육이 정리한 '합격을 부르는 면접실전 대비법'을 공개한다.

■ 합격을 부르는 면접실전 대비법

첫째, 요지부터 먼저 말한다 
면접에서는 면접관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제한된 시간에 말하려고 하는 내용을 모두 전달해야 하므로, 먼저 결론부터 말하고 부연 설명하는 것이 좋다.

둘째, 제출 서류에 대한 철저한 확인과 지원 대학의 인재상, 학과 지원 동기 등에 대비한다 
지원 대학에 제출한 학생부·자기소개서 등의 서류 내용을 면밀히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지원 대학의 인재상과 건학 이념도 확인하고, 학과를 선택하게 된 동기, 대학 입학 후 교육과정에 따른 학업 계획과 졸업 후 진로 계획 등 예상되는 질문에 대비한다.

셋째, 모의 면접을 통한 실전 연습을 한다 
예를 들어 부모님, 친구, 선생님 등을 면접관으로 설정하고, 사전 모의 연습을 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된다.

넷째, 면접시 바른 태도를 가지도록 훈련한다 
들어갈 때 바르게 인사하고, 말할 때 바른 태도를 보이며 발표할 때 목소리, 발음 등에 유의한다. 


*에듀진 기사 원문: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095

 

   
http://goo.gl/bdBmXf
저작권자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