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부와 놀이 모두 '문제해결'의 과정
- 놀 줄 아는 학생이 공부도 잘 한다
- 놀이 통해 공부에 '날개' 달 수 있어
- 뇌를 자극하는 놀이 스도쿠, 페르미 추정
공부는 노동만큼 힘들죠. 이 힘든 공부를 대부분의 학생들이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무려 12년 동안 합니다. 물론 대학교에 진학해서도 공부는 계속됩니다. 대략적으로 12년 동안의 공부 시간을 계산해 보면 ‘하루 6시간*일주일 5일*한달 4주*1년 12달*12년=172,800시간’이 됩니다.
‘1만 시간의 법칙’을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1만 시간보다 무려 17배에 달하는 시간을 투자했지만, 많은 학생들은 공부의 신이 아닌 공부의 루저가 되고 있습니다. 이는 근면과 노력이 성공을 보장한다는 개미형 공부법이 의심되는 대목입니다.
관련기사
문주호 수석교사 (청봉초)
webmaster@eduji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