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해소, 근본적 해결 방법은 대화
-스트레스 받으면 뇌에 변화 일어나…적절한 해소 필요해
통계청 '2017 청소년 통계조사'에 의하면 청소년 스트레스 인지율이 학교생활에서 52.5%, 가정생활에서 31.8%로 나타났습니다. 2명의 학생당 1명은 학교생활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3명의 자녀당 1명은 가정에 불만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스트레스 해소, 근본적 해결 방법은 대화
청소년의 스트레스를 푸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요? 놀기, 휴식하기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가장 근본적인 해결 방법으로는 가족이나 친구들과의 대화가 매우 중요합니다. ‘공부를 왜 하는가?’를 이야기하기보다는 ‘미래에 무엇을 하고 싶은가?’에 대한 주제로 대화해야 합니다. 밥상머리 교육이 사회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이유입니다.
공부는 마라톤과 같습니다. 공부를 단거리 달리기로 여기면 많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과거에는 게임과 공부를 반비례의 관계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게임과 공부를 평행선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공부도 하고 게임도 합니다. 다만, 게임도 공부도 똑같이 취급하되 소극적으로 게임하고, 적극적으로 공부하는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관련기사
- 주변기기를 활용하라 [공부가 되는 공부법]
- 방과후 시간을 활용하라 [공부가 되는 공부법]
- 온라인 수업을 정복하라 [공부가 되는 공부법]
- 성적 쑥쑥 올려주는 공부 시간표 짜기 "시간을 지배하라" [공부가 되는 공부법]
- 나에게 상과 벌을 허용하라 [공부가 되는 공부법]
- 혼자 공부하기와 함께 공부하기 [공부가 되는 공부법]
- '함께 공부하기' 성공하는 10가지 팁 [공부가 되는 공부법]
- 놀이도 공부의 연장선이다 [공부가 되는 공부법]
- 놀이하는 인간이 공부하는 인간이다 [공부가 되는 공부법]
- 수학, 고민만 하면 답이 없다 [공부가 되는 공부법]
문주호 수석교사 (청봉초)
webmaster@eduji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