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용정보원 ‘2021-2031 중장기인력수급전망’에 따르면, 정보보안전문가는 2021년 약 12천 명에서 2031년 약 14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2천 명(연평균 1.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개인용 서버, 모바일 기기 등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정보에 대한 보안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 등 정보보안은 우리 생활과도 아주 밀접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기업에서는 산업활동에 유용한 기술 등 산업자산 보호가 중요해지고 있으며 국가기반시설에 대한 보안 문제는 국가안보 또는 국익과도 직결되기 때문에 전문가를 통한 보안 유지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컴퓨팅 환경의 확대,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 사용자 확대 등 초연결 사회로의 이행은 필연적으로 정보보안의 수요를 촉진하고 있다. 향후 지능형 사이버 보안이 핵심사이버 방어기술로 예측되고 있으며, 지능형 영상감시 등 물리 보안 역시 국가안보전략기술로 인식되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 진출직업
디지털포렌식수사관, 블록체인전문가, 산업보안전문가, 정보보호전문가, 컴퓨터하드웨어 기술자 및 연구원, 시스템소프트웨어개발자, IT 교육강사, 네트워크엔지니어, 데이터베이스개발자, 사이버교육운영자, 의료정보시스템개발자, 정보보호전문가, 반도체공학기술자, 통신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신경회로망연구원, 블록체인전문가, 디지털포렌식수사관, 인공지능전문가, 무인자동차엔지니어, 생체인식전문가, 사물인터넷전문가, 빅데이터전문가, 클라우드시스템엔지니어, 스마트팜구축가, 가상현실전문가, 3D프린팅전문가, 홀로그램전문가, 무인항공기시스템개발자, 정밀농업기사, 컴퓨터시스템감리전문가, 컴퓨터프로그래머,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모바일애플리케이션개발자
■ 학과관련자격증
3D프린터개발산업기사, e-TestProfessional, IEQ(인터넷윤리자격), PCMaster(정비사), RFID기술자격검정, SQL, SW테스트전문가(CSTS), 국방사업관리사, 네트워크관리사, 데이터분석, 데이터아키텍처, 디지털정보활용능력(DIAT), 디지털포렌식전문가, 디지털포렌식전문가, 리눅스마스터, 산업보안관리사, 소프트웨어자산관리사(C-SAM), 전자계산기기사, 정보기술자격(ITQ)시험, 정보기술프로젝트관리전문가(IT-PMP), 정보보안기사, 정보시스템감리사, 정보처리기사, 정보통신기사, 컴퓨터활용능력
■ 필요능력
|
특히 태도 면에서 객관적인 평가기준 수립 노력, 적극적기고 상세하게 분석하는 자세, 최신 보안 동향을 수집하고 이해하려는 자세, 최신 침해사고 동향과 원인을 파악하고 분석해보는 자세, 검증할 항목 분석을 위한 치밀한 태도 등이 꼭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