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공학과는 교통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방법과 체계를 배우는 학과이다. 최근에는 자율주행차, 초고속 인터넷,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통 인프라 구축, 지능형 교통 체계 마련, 미래 교통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등 4차 산업 핵심 기술과 접목되고 있다. 지상교통 관련학과에서는 교통문제를 분석하고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한다.
교통공학과 진학을 위해서는 어떤 고교선택과목, 탐구주제, 추천도서가 도움이 되는지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 고교선택과목
|
■ 세특주제
1. 세특사항은 교과서에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호기심을 발견하고 추가로 검색을 통해 논문을 탐색해 해결하거나 독서를 통해 호기심을 해결하는 과정을 기록하는 것이다.
2. 대학에서 배우는 교육과정은 고교 교육과정보다 학생이 선택한 전공에 따라 과목을 집중적으로 배우게 된다. 따라서 대학의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사고를 확장하고 고교 교과서와 매칭되는 부분을 찾아 탐색한다면 전공적합성, 계열적합성, 진로역량에 부합하는 활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3. 한 사람의 학문적 성공과 실패는 IQ보다는 태도와 자세에 있다. 대학교 교수나 연구자들 중에 상당수는 IQ가 좋은 사람도 있겠지만, 그들의 집념, 열정, 태도, 자세 등이 학문에 부합하는 사람이 더 많을 것이다. 대학은 아무나 가는 것이 아니라 더 전문적인 것을 배우기 위해 진학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생활기록부로 평가하는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학생이 공부를 하는데 있어서 나타나는 태도와 습관, 자세 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탐구주제 확장하기
ㆍ곡선이 사용된 건축물에 대해서 조사해서 발표하기
ㆍ병목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의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바꿀 수 있는 방법을 찾아 탐구 보고서 쓰기
ㆍ교통공학을 접목해 택배 노동자의 업무를 경감해줄 수 있는 방법을 조사해 PPT 발표하기
ㆍ교통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지역의 교통 환경을 조사하고 대안을 생각해 보고서 쓰기
ㆍ대도시 교통문제의 심각성에 대해서 조사하고 발표하기
ㆍ교통물류 시스템에 적용되는 인공지능에 대해 알아보고 발표하기
ㆍ인적·차량·도로와 교통사고와의 관계에 대해서 조사해 발표하기
ㆍ교통 공급 및 수요에 관한 자료수집 방법을 조사해 PPT 발표하기
ㆍ4차 산업혁명이 바꿔갈 미래에 대해서 조사하고 전망해 보기
ㆍ전쟁과 과학기술 발전의 명과 암에 대해서 탐구하기
ㆍ위대한 과학자, 정직한 과학자 두 가지 측면에서 역사 속 인물을 찾아보고, 나는 어떤 과학자가 될 것인가를 정리해 발표하기
ㆍ괴짜들의 상 ‘이그노벨상’에 대해서 조사하고 기발한 아이디어를 찾아 발표하기
■ 심화역량별 탐구활동
교과서와 실생활에서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교통공학과 연관지어 심화된 주제를 찾아 탐구한다. 가능한 <학업역량 및 진로역량 핵심 키워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활동한다. 등급에 상관없이 학생이 제출하는 것의 정도에 따라 교사의 평가가 달라지게 될 것이고 대학의 평가도 달라진다.
각 교과목 수행평가는 가장 기본적인 활동이므로 만점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한다. 이외에 더 상위권 대학에 진학하고 싶은 경우에는 시의성 있는 교통공학 및 사회문제와 관련한 세특 심화탐구를 추가한다.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와 역할을 탐구하는 것이 세특 심화이다. 교통공학의 심화탐구 분야는 자신의 진로분야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활동을 감안해 보고서, 감상문, 소감문, 발표를 진행하는 것이다.
아래는 진출분야와 교통공학과 출신자들이 하는 일을 세특사항에 활용할 수 있는 주요 키워드를 정리한 것이다.
|
■ 발전가능성을 위한 추천도서
|
*[공학계열 진로진학 가이드북 일부 발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