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로학원 분석 결과…인문계는 대부분 지정 과목 없어
주요 대학들이 2028학년도 대입에서 지정한 고교학점제 전공연계 과목이 자연계열 대학·학과 간에 매우 달라 현재 고1 학생들이 입시 대비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문계열 학과는 고교학점제 연계 지정과목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종로학원은 28일 주요 10개대(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서강대, 한양대, 중앙대, 경희대, 이화여대, 한국외대)의 2028 고교학점제 전공연계 선택과목 지정 상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분석은 주요 10개대 중 아직 미발표한 연세대, 한국외대, 이화여대를 제외한 7곳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자연계열에서는 대학과 학과에 따라 수학 과목을 미적분II, 기하, 확률과 통계 등 매우 다르게 발표했다.
서울대는 자연계 학과 대부분에서 기하, 미적분II를 핵심 권장 과목으로 모두 지정했으나 고려대는 학과에 따라 기하 과목을 특정하거나, 수학 과목 자체를 지정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자연계 탐구과목에서도 서울대는 학과에 따라 물리, 화학, 생명과학 과목을 특정했고, 고려대는 학과별로 과학 선택과목을 다르게 발표했다. 성균관대, 서강대는 과학 과목 지정이 없었고, 중앙대와 경희대도 물리, 화학 등 학과별로 달랐다.
의대, 치대, 한의대도 지정 수학, 과학 과목이 대학별로 달랐다. 서울대 의대는 생명과학이 필수이고, 고려대는 과학 과목에 대한 일반선택 필수 지정과목은 없었다. 반면, 경희대는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이 필수이고, 한양대는 물리, 화학, 생명과학 중 1과목 이상으로 지정했다.
인문 계열 학과는 사실상 지정과목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발표 대학 중 서울대 인문계열에서만 제2외국어/한문 중 1과목 이상으로만 지정했을 뿐 나머지 대학과 학과는 핵심 권장 과목이 없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고교학점제 적용에서 인문계열과 자연계열학과의 지정과목 상황이 매우 다른 양상으로, 자연계 수험생이 고교학점제 상황에서는 대학 결정에서 더 혼란스러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발표한 대학 기준으로 볼 때 자연계 수험생들은 목표 대학과 학과를 조기에 결정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조언했다.
